결국 삶은 정해진 흐름 안에서 ‘반자율주행’처럼 움직이는 것에 가깝다.
모든 것이 내 뜻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일도 아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흔들릴 때마다 돌아올 수 있는 나만의 기준, 일종의 ‘개똥철학’을 세우는 일이다.
책의 표현 중 인상 깊었던 것은 저자가 자신의 기질을 ‘단무지’라고 소개한 부분이었다.
단순하고, 무식하고, 고집 센 성향을 단점이 아닌 ‘운을 돌파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이해하려는 태도가 진솔하게 다가왔다. 이상적인 인간상보다, 실제 인간의 결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는 시선이었다.
《본질론》을 읽고 나니 삶에 대한 시각이 조금 정리된 느낌이 든다.
앞으로 인생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겠지만, 스스로를 대하는 태도만큼은 이전과 다를 것 같다.
이제는 모든 결과를 내 능력 하나로 평가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그 대신, 어떤 흐름 속에 있든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먼저 떠올리게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