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을 속이는 일이 불가능해지는 이때 '긍정적 사고'가 얼마나 효과 없는 공염불인지 분명해지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경제와 정치, 환경 등 모든 면에서 어려운 시기에 더 필요하다 설파한다.
행복을 연구하는 철학은 부정성만이 우리를 구원할 유일한 답이라는 말에 백 퍼센트 동의할 수는 없지만 긍정만으로 행복해질 수 없음에는 수긍할 수밖에 없다.
더불어 비관론과 슬픔 앞에서 여유를 가질 수 있다면 긍정적 사고가 결코 제공해 주지 못했던 유연하고 탄력적인 길을 따라 행복을 향해 걸어갈 수 있게 될 것이라는 말도 일리가 있는 말인 것 같다.
특히 2장의 <비관적인 사람들이 행복을 찾는 방법>에서 '스토아 철학자로 살아보기'의 내용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키스와 조슬린 부부의 이야기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스토아 철학자로 산다는 것은 사실 대단히 불편한 위치에 자리를 잡는 겁니다"라는 조슬린의 말처럼 스토아 철학자들은 행복과는 한참이나 먼 곳에 위치한다. 그럼에도 개인의 통제를 벗어나 있는 것을 행복의 기반으로 삼는 것은 다가올 몹시 불쾌한 충격을 자초하는 일이라는 철학은 참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통찰을 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행복은 '긍정'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었는데, 그런 강박에서 벗어나 '부정'에서도 얼마든지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