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문화
야나기 무네요시 / 신구문화사 / 199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아름다움이 그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내는 장소는 생활이다. 아름다움은 생활에 침투하고 생활과 접촉함으로써 더욱더 아름다워진다. 더 나아가서는 아름다움은 생활에 입각함으로써 비로소 그 정당한 존재를 획득한다고도 감히 말할 수 있다. 우리는 그렇게 믿어야만 한다. 우리는 어떠한 아름다움보다 생활에 이바지하는 아름다움에 열의를 바쳐야 한다. 아름다움이 한가한 장소에 놀고 있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현실 생활은 아름다움의 적이라고 하는 것처럼 중대한 오해는 없다. 참다운 아름다움은 어디까지나 현실 생활 속에 있으며, 또 현실 생활 속에 있어야만 건전할 수 있다. 2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돌프 로스 장식과 범죄
아돌프 로스 지음, 현미정 옮김 / 소오건축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중국의 목세공인은 열여덟 시간을 일하고, 미국의 노동자는 여덟 시간 일한다. 내가 밋밋한 깡통에 지불하는 만큼 장식된 깡통에 지불한다 해도, 노동시간의 차이는 그 노동자의 몫이다. 장식이 완전히 사라진다면-아무 수천 년 후에야 일어날 일이지만-인간은 여덟 시간 대신 네 시간만 일하면 될 것이다. 지금도 노동의 반은 장식을 위한 몫이기 때문이다. 장식은 허비된 노동력이며 그로 인해 허비된 건강이다. 언제나 이랬다. 오늘날에는 허비된 재료를 뜻하기도 하며 그래서 둘 다 허비된 자본을 의미한다. 2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순한 열정 (무선) -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9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9
아니 에르노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우리가 지금까지 몇 번이나 사랑을 나누었는지 헤아려보았다. 사랑을 할 때마다 무언가 새로운 것이 우리 관계에 보태어진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동시에 쾌락의 행위와 몸짓이 더해지는 만큼 확실히 우리는 서로 조금씩 멀어져가고 있었다. 우리는 욕망이라는 자산을 서서히 탕진하고 있었다. 육체적인 강렬함 속에서 얻은 것은 시간의 질서 속에 사라져갔다. 17

 

 

* 어렸을 때 내게 사치라는 것은 모피 코트나 긴 드레스, 혹은 바닷가에 있는 저택 따위를 의미했다. 조금 자라서는 지성적인 삶을 사는 게 사치라고 믿었다. 지금은 생각이 다르다. 한 남자, 혹은 한 여자에게 사랑의 열정을 느끼며 사는 것이 바로 사치가 아닐까? 6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가의 지도 - 예술가의 초상, 그리고 그들의 네트워크
김미라 지음 / 서해문집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 거트루드는 예술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우리처럼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행복한 이유는 매일 매일 기적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기적은 정말 날마다 오니까.” 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행자 - 21세기 여행 사랑법
후칭팡 지음, 이점숙 옮김 / 북노마드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여행 경험을 통해 상대를 무시하는 법부터 배운 것 같다. “어? 인도에 다녀왔다고? 빈민가에 안 가봤어? 그럼 진정한 인도에 갔다고 할 수 없는 거 아냐?” 하고 말하거나 “뭐? 뉴욕에 쇼핑하러 간다고? 지금은 밀라노가 대새인 거 몰라?” 라고 말하는 식이다. 또 “너 아무래도 유행에 뒤떨어지는 거 아니야? 모스크바에 갔으면서 그 나라 사람들이 마시는 위스키도 안 마셔보다니! 안 갔다 온 거나 마찬가지네!” 하고 말하기도 한다. 30

 

 

* 여행을 마치고 돌아와 오래된 신문을 집중해서 읽을 때만큼 사회와 일상의 사소한 움직임을 깨닫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오래된 신문을 읽을 대에야 세상에서 만들어지는 뉴스의 대부분이 실제로는 가치가 없는 소식이며, 자신이 속해 있는 세계만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세계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표제가 바뀌지만 전달되는 소식은 늘 별다를 바 없으며, 이야기 방식도 변하지 않는다. 능청스럽게 악기만 다른 것으로 바꾼 후, 매번 같은 곡을 연주해온 것이다. 201

 

 

* 여행자가 떠나가는 것을 주변 사람들이 싫어하는 이유는, 떠남에 ‘버린다’는 암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행자가 떠나는 모습을 본 사람들은 공간의 이동을 보았고, 배신을 보았고, 허무를 보았다. 하지만 그들은 생명의 본질은 볼 수 없었다. 왜냐하면 우리는 ‘가벼움’을 통해 비로소 ‘무거움’을 이해하고 ‘죽음’을 통해 비로소 ‘삶’을 알고, ‘멀어지는 것’을 통해 비로소 ‘가까워지는 것’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여행자는 여행을 통해 생명의 시작과 끝에 대해 배운다. 세상의 탄생을 보고, 자신의 존재가 조금도 놀라운 것이 아님을 보게 되는 것이다. 242-3

 

 

* 여행은 일이다. 휴가는 더 이상 해변에 누워 책을 읽거나, 느긋하게 온몸으로 햇살을 쬐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제 휴가는 진정한 휴식을 의미하지 않는 것이다. 휴가는 잠깐 쉬는 틈의 개념이고, 여행은 휴식이 빠진 학업의 개념이다. 쉬는 ‘틈’은 공들여 준비한 휴가이기 때문에 계획부터 치밀해야 한다. 엄청난 연구 정신과 의지가 필요하며, 일할 때와 마찬가지로 힘과 마음을 쏟아야 한다. 누군가 인도에 가서 휴가를 보내기로 계획했다는 것은 그곳에서 빈둥거리고 돌아다니거나 차를 마시고, 멍하니 시간을 보내고 돌아온다는 뜯이 아니다. 그렇다고 여행자를 매혹시키는 이국적인 정취에만 빠져 있다 온다는 의미도 아니다. 여행자는 정해진 휴가 기간 내에 그가 오랫동안 기대해온 ‘기이한 경험’을 해보고자 한다. 여행자는 매분 매초마다 경이로움이 가득한 시간을 보내고 싶어한다. 교육적 가치가 없을지라도 오락적 효과가 있기를 바란다. 인도에 간 이상, 라자스탄의 라지푸트 왕국에 왜 들르지 않겠는가? 호숫가를 느린 걸음으로 거니는 야생 호랑이를 가까운 거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를 왜 잡지 않겠는가? 헬리콥터를 타고 히말라야 산에 가서 공중 스키를 타는 경험을 왜 하지 않겠는가? 이런 위대하고 낭만적인 여행을 생각한다면 당연히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때는 여행사, 호텔, 현지 가이드, 교통편 등 외부의 전문적인 도움을 받아야 비로소 원만하게 계획을 완성할 수 있다. 휴가는 휴식이 아니라, 노동이다. 27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