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 (무선본)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조현욱 옮김, 이태수 감수 / 김영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인류의 역사 연대표를 다시 보면서... 인류의 처음과 현재를 비교해 본다.

우주를 왕복할만큼 기가 막히게 발전한 과학과 그에 비례하듯 무너지고 있는 인간의 생태계.

 

호모 사피엔스. 7만년 전 아프리카 한 구석에서 살던. 별 중요치 않은 동물이었는데. 오늘날 어찌 신이 되려는 생각까지 품게 되었을까.

호모 사피엔스는 어떻게 세상을 지배하게 되었을까. 생태학적 연쇄 살인범이라는 낙인이 찍힐 정도로 무자비하게 세상을 지배하기 시작한 근원은 어디에 있을까.

호모 사피엔스는 다수가 유연하게 협동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란다.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들 - 신, 국가, 돈, 인권 등을 믿을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지녔단다.
종교, 정치 체제, 교역망, 법적 제도 등의 대규모 협동 시스템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인간은. 생태계에서 가장 독특한 종이라는 것이다.

'사피엔스'라는 우리 종의 역사는 세 가지 혁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인지혁명 - 똑똑해진 시기 (예술 등을 발명했지...)
농업혁명 - 자연을 길들여 원하는 것을 얻게 된 시기
과학혁명 - 우리가 위험할 정도의 힘을 갖게 된 시기 (또한 인간은 이것으로 멸망을 초래할지도 모르지...)

총,균,쇠 (재레드 다이어몬드)에서 말한 사피엔스의  '대약진'이 이루어진 것이 불과 7만년전

이라고 하는데.

지적 돌연 변이를 이르킨 것인가. 인간의 지적 활동의 끝은 무엇일까?
최근 몇 십년 동안 인간의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데. 이게 과연 생태계의 위협과 밀접한 것은 아닐까.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는 어떤 생명체로 진화(진보) 또는 멸종될 것인가?

가난한 사람은 더욱 퇴보하고, 부자인 사람들만이 지적 설계에 의해서 살아남는

그런 세상이 될까?

부끄러운 일이다. 그런 일만은 제발 일어나지 않기를.

과연. 50여년 뒤의 우리 인간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작가 댄 브라운은 미래 인간의 모습은 컴퓨터 인공지능으로 인하여 멸종되거나 융합될 지도 모른다고 '오리진'이라는 소설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38억년 전 즈음의 생명의 출현을 과학으로 증명하면서. 진화론의 시작을 결국은 보여주고. 인간의 창조론을 부정하는 완벽한 이론을 설명할지.
아니면 과학은 종교의 '창조론'에 백기를 들고 투항할 것인지.

자못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책 '사피엔스' 제대로 읽지 못한 책이다. 다시 찬찬히 읽어야겠다. 방대한 분량(580페이지가 넘는)에 지쳐서. 아예 처음부터 제대로 시작하기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