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소설
한강 지음, 차미혜 사진 / 난다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한강 소설 <>... 세상의 '모든 흰'에 대한 넋두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나는 더 깊게 읽지 못하고 어느 시점에서 책을 내려 놓고 맙니다. 가슴이 먹먹하게 미어지고, 앞으로 흰, 어떤 흰, 모든 흰 것을 볼 때마다 심사가 편치 않을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소설 속의 문장들, 작가의 사념들, 어렵네요.

읽다가 지치네요. 문장은 짧고 간결한데.

이런 문장들 한때는 꽤나 좋아하는데.

 

'깊이에의 강요'라고 해야 하나...

 

눈처럼 하얀 강보에 쌓인 갓 태어난 아이를, 그렇게 눈 한 번 뜨고 죽어 버린 아이를,

굳이 떠나 보내지 못하는 산 자의 넋두리 같은 것이 느껴졌다고 해야 하나...

한때는, 이런 미친 듯이, 자기 살을 도려내는 듯한 날카로운 외로움과 그것을 곱씹는 것을 좋아했는데...

 

이제는 좀 지겹지 않니?’

 

"시간의 감각이 날카로울 때가 있다"라고 작가는 말한다.

 

이 날카로운 시간을 작가는 즐기는 것 같다. 나도 한때는 그랬던 것처럼. 그러나 지금 나는. 둥글둥글하니 모나지 않음을 원한다.

 

날카롭다, 예민하다, 이런 소리들을 더 이상 듣고 싶지가 않다.

 

굳이, 죽은 영혼에게 말을 거는 이유가 무엇일까.

자작나무숲의 침묵에서도 죽은 갓난 아이의 영혼을 보아서 무엇할까.

 

자꾸만 그렇게 죽은 영혼에게 말걸기를 하는 삶은 얼마나 고단할까. 작가도, 작품 속의 그녀도, 기를 쓰고 이런 글을 찾아 읽으려고 애를 썼던 나도, 참으로 고단한 영혼을 지녔다.

 

"지금 이 순간도 그 위태로움을 나는 느낀다."

 

이 말은.

아직 살아 보지 않은 시간 속으로,

아직 겪어 보지 않은 시간 속으로,

들어가는 삶이 무모하게 느껴졌기 때문일까?

 

어차피 우리가 살아내는 이 시간, 이 순간, 이 모든 삶의 시간이 어찌 보면. 무모함의 연속일지도 모르는데.

 

뭐 그리 위태롭다 하는지.

 

제대로 못 읽을 책이다. 그래서 내려 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