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호의 고전강독 3 -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진정한 행복을 묻다 공병호의 고전강독 3
공병호 지음 / 해냄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때 윤리시험에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문제는 항상 주관식으로 나오곤 했다. 정답은 중용이다. 역시 알리스토텔레스란 철학자는 중용을 빼면 안되는 사람이다.
몇번 고전책들을 들여다보곤 했는데 번번히 말장난하는것 같고 머리에 제대로 이해 되는것 같지도 않아 포기하고 말았었다.
공병호님의 고전강독은 말로만 많이 들었지 선뜻 손에 잡지 못한 책이었다. 그만큼 고전에 대한 두려움이 컸었나 보다.
이 책을 읽으며 예전 학창시절로 돌아간것처럼 줄을 긋고 중요한 내용 동그라미치면서 재미있게 읽었다.
물론 이 책이 아주 재미있고 쉽지만은 않았다. 분명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여러번 반복해서 읽어야 했고, 잘 모르는 단어가 있어서 사전을 검색해야 했다. 근데 어쩌면 이 책이라서 그런것 조차도 의미있고 즐거웠던것 같다.

책 앞쪽에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예전에 배웠기 때문에 알거라 생각했는데 의외로 이름에 비해 알려진것이 별로 없었고 내 지식이 많이 부족했구나 하는걸 느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를 살펴보면서 그가 가진 철학전 견해나 여러가지 방대한 지식의 출처를 확인할수 있었다.

공병호님 보다 앞서서 이미 고전을 읽기 쉽게 다듬어주신 많은 분들과 그것을 토대로 공병호님의 노력과 헌신으로 좋은 고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질수 있게 될것이다.
현대에 있어 행복은 아주 중요한 명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과 성공을 일부로 연결한것은 아니지만 행복한 인간에게 자연스럽게 주어지는 성공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이 책을 통해 지금 이 시대에 많이 나온 성공에 대한 인생 경영서의 근본을 본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태어나기도 전에 이미 우리는 이런 중요한 사실이 있었고 우리가 알려고만 한다면 더 나은 삶을 위해 준비될수 있었다.
아는 만큼만 보인다는 공병호님의 이야기에 깊은 공감을 하게된다.
알면 알수록 아는것이 때로는 우리를 더욱 피폐하게 하거나 복잡하게 만들지라도 그것이 없이는 우리의 인생이 단지 허망한 끝을 향해 달려가는 것일 것이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연약한 인간 본성에 많은 의지를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 스스로도 잘 알고 있는 우리 자신의 본성은 그렇게 선하지도 않고 올바르지도 않은데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을 너무 과대평가하지 않았나 생각해보기도했다.
고전을 알아가는것은 우리의 삶을 알아가는 것이다.
우리와 다른 시대를 살았던 그들에게도 살아가는 것이 고민이고 해결해야할 문제들 투성이었음에 다시한번 지금 이순간 최선을 다하며 살자고 결심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