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안네 - 60년 만에 발견한 안네 프랑크에 관한 새로운 이야기
베르테 메이에르 지음, 문신원 옮김 / 이덴슬리벨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초등학교때 안네의 일기를 보고 울었던 기억이 난다.
어둡고 암울한 상황에서도 일기와 함께 하루하루를 헤쳐나가는 낙천적인 아이였다고 기억한다.
"굿바이, 안네"를 보고 예전 그 기억이 새록새록 났다.
안네가 겪었을 일들은 나와는 전혀 관계없는 일들이긴 하지만
같은 또래의 아이였다는 사실만으로 나는 호기심이 생겼었다.
지금 내가 다시 안네의 이야기에 호기심이 발동한 것은 그때 그 시절의 기억이 나를 설레게 했기 때문이다.


처음에 책을 읽어내려갈때 저자가 안네를 잘 아는 사람일거라 추측했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안네와 상관이 있다고 보기에는 거리가 있었다.
그렇지만 안네는 죽고 저자는 살아남았다.
안내와 비슷한 또래이고 예전에 옆집에 살았었고, 같은 곳에서 잠시지만 함께 고통을 나누기도 했었다.
안네가 만약 죽지 않고 살아 있다면 이 책의 저자와 대략 비슷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물론 각 개인의 차이가 있듯 저자와 안네가 세상을 마주하는 방식이 많이 달랐겠지만
안네 역시 전쟁이 끝나고 겪어야했을 그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며 살아갔을 것이다.


베르테 메이에르가 보는 전쟁에서 살아남는 방법이 아니라 전쟁이 끝나고나서 삶을 살아가는 이야기다.
전쟁이 있기전 상황은 베르테가 매우 어렸으므로 대부분 기억저편이고, 다른 사람들을 통해 들은 이야기다.
베르테가 전쟁 중 부모님을 잃고 동생은 결핵에 걸려 처음에 혼자 고아원으로 가게 되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동생을 지켜야 한다는 엄마의 유언으로 베르테는 동생과 떨어져 다른곳으로 입양될수 있었지만 다 거부한다.
나중에 여러 친척들을 만나게 되지만 어린 베르테의 입장에서는 모두에게 버림 받은것처럼 느껴진다.
사실 어린나이에 어른들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베르테는 어린시절 고아원에서 어른들을 이해하기 보다는 살아남았기 때문에 그냥 살았다.


고아원에서 학교에 다니며 새로운 세상을 접하게 되고, 나이를 먹으면서 자신은 여전히 정상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전쟁으로 인한 상처가 여전히 그녀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던것이다.
기차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자유롭게 이용하기도 힘들었다.
예전 기억이 떠올라서 여러가지 증상이 마구 나타났기 때문이다.
막연히 전쟁을 겪었기 때문에 힘들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했지만, 이정도의 후유증을 가지고 있을줄은 정말 몰랐다.


어린 시절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무고한 아버지의 사망을 지켜보았으며 어머니의 죽음을 목격했다.
시체더미에서 놀았던 그 어린시절이 그녀에게는 고통이었고, 무엇보다 가장 괴로운건 외로움이었다.
그녀는 남자에게 호기심을 보이기 시작하면서부터 사랑받기 위해 남자를 많이 의지했다.
많은 남자들과 사랑을 나누었고, 그 남자들과의 이별을 어렵게 생각하지 않았다.
물론 베르테 자신이 많이 사랑한 사람과는 결혼하기도 한다.
베르테는 다른 사람에게 많이 좌지우지 되는 성격은 아니었지만 사랑에 빠지면 판단이 흐려졌다.
베르테의 외로움이 지나치게 사람을 의지하게 만든것이다.


어느덧 현재 베르테의 이야기가 나온다.
베르테는 여러가지 합병증에 시달리며 여전히 사랑을 받기 원하고 있다.
먹는것과 입는것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유대인 그녀들의 이야기도 나온다.
누군가에게 보상받기에는 너무나 받을것이 많은 상처받은 그들을 도대체 어디서 안아줄수 있을지..
지금도 집을 고를때 숨을곳이 있어야 한다는 그녀..
어릴때 자신의 아버지도 숨을곳에 잘 숨겨줬으면 하고 바라기도하는 그녀..


전쟁의 아픔으로 찢긴채 시작된 그녀의 삶은 평생이 그렇게 아프고 힘들었다.
60년동안 그 이야기를 함구했던 그녀의 이야기로 나는 그녀의 아픔을 함께 했다.
그녀의 마음을 다 말할수는 없었겠지만 이 책을 통해 그녀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함께 하며 위로하고 싶다.
전쟁을 겪어보지 못한 많은 세대들에게 전쟁의 폐해를 다시한번 일깨워줄수 있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