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동안 출판시장의 모습은 한결같았다오랫동안 자기계발 관련 책들과 힐링을 전하는 책들은 유행에 유행을 거듭했고 그 사이에는 비집고 들어갈 작은 틈조차 보이지 않았다수많은 스타와 멘토가 탄생했다그들은 여전히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그런데 거대한 장벽처럼 보이던 자기계발과 힐링의 유행에 최근 작은 균열이 일어났다.

 한병철 교수의 『피로사회』가 인기를 얻은 것을 시작으로 ‘○○사회라는 제목의 책들이 속속 등장했다『피로사회』에 이은 『투명사회』를 비롯해 주창윤 교수의 『허기사회』엄기호 교수의 『단속사회』정지우 작가의 『분노사회』 등 다양한 책들이 출간되었다제목은 조금 다르지만 노명우 교수의 『세상물정의 사회학』 역시 같은 흐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보기 힘들었던 책들의 등장은 일단 환영할만한 일이다사회에 대해 말하는 다양한 책들이 출간되는 현상을 어떻게 볼 수 있을까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자기계발과 힐링의 유행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IMF 이후 자기계발 서적은 꾸준한 인기를 끌었다그 안에는 수많은 성공담들이 담겨있었다.흔히 말하는 개천에서 태어나 용이 된’ 사람즉 자수성가를 이룬 사람들의 이야기였다성공의 주인공들이 전하는 말은 한결 같다. “노력해라당신도 언젠가는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계발 다음으로는 힐링이 찾아왔다. 2010년 말 김난도 교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 이후 한국사회에는 힐링’ 바람이 불었다. ‘힐링을 전하는 멘토의 이야기 방식은 자기계발과 조금 달랐다자기계발이 다그쳤다면 힐링은 보듬어주었다. “많이 힘들지그때는 다 그런 거야조금만 더 참아.” ‘멘토들은 사람들의 아픔에 공감해주었고 사람들은 멘토들에게 의지했다.

 자기계발과 힐링’, 둘은 말하는 방식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만 본질은 똑같다성공도 실패도 자신의 노력여하에 달려있다는 것이다그러니까 더 열심히더 치열하게 살라는 것이다개인과 사회와의 관계개인에게 끼치는 구조의 영향은 전부 탈각된 채 모든 책임은 개인의 어깨 위에 올려진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은 지쳐갔다노력조차 할 수 없는 환경은 둘 째 치고라도개인의 노력만으로 전부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점차 깨달았다자기계발과 힐링이 결국 자수성가 이데올로기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은 말임을 알게 된 것이다그리고 ?”라고 묻기 시작했다왜 자신의 삶이 이렇게 팍팍하고왜 미래의 답이 보이지 않는지 말이다.

 사회와 관련한 많은 책들의 출현과 인기는 이에 대한 방증이다이제 사회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한 것이다인간은 혼자 살 수 없다어떤 방식으로든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간다따라서 구조와 사회에 대한 이해 없이는 개인에 대한 이해 또한 있을 수 없다개인에 대해 아무리 많은 질문과 고민을 한다 해도 사회적 맥락이 고려되지 않는다면 공염불에 불과하다.

 앞서 언급한 책들의 저자들은 분노허기단속을 우리 사회의 특징적인 징후로 파악하고 그 현상의 원인에 날카로운 매스를 들이댄다징후가 다양한 만큼 원인 또한 다양하다그 많은 원인을 하나둘 알아갈 때특히 지금으로써는 도저히 손쓸 수 없어 보이는 원인을 마주할 때는 힘이 빠지기도 한다하지만 지독한 무력감에 휩싸일지라도도무지 답이 보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새롭게 질문을 한다는 것은 치료에 조금 다가섰음을 뜻한다. “만일 사회가 그 사회에 대한 질문을 멈춘다면 사회는 아픈 것이다고 그리스 철학자 카스토리아디스는 말했다당장은 아파서 피하고 싶을지 모르지만 끊임없이 사회에 대해 질문을 하는 것만이 역설적으로 아픔을 치유하는 방법이다그리고 이것이 개인을 치유할 수 있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