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자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34
선자은 지음 / 자음과모음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홍알음에게 동생이 생겼다동생이라고는 하지만 나이로 봤을 때 그런 것뿐이지 알음은 그의 존재를 인정하고 싶지 않다아니 사라져버렸으면하고 바라고 있다어느 날 갑자기 아빠가 아이가 불쌍하다는 이유로 채 옹알이도 하지 못하는 아이를 집으로 데려온 것이다아빠가 남에게 선의를 베푸는 것이 알음의 생각대로 전적으로 자기만족을 채우기 위한 이기적인 행동인지 진심으로 남에게 베푸는 호의인지 정확히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알음의 아빠는 항상 그래왔다남에게 선행을 베푸는 것이 인생의 목표인 듯이하지만 이번에는 좀 심했다알음은 물론 엄마와 상의도 없이 갓난아기를 덜컥 집으로 데려오다니.

 불행은 한 번에 몰려오는 것인지마치 이 순간만을 기다렸다는 듯이 하나의 불행에 혼란스러운 틈을 타 또 한 가지의 불행이 닥쳐왔다나의 절친 소희와의 관계가 멀어진 것이다이게 다 계약자’ 때문이다소희는 나신율에게 첫눈에 빠져버렸다그 날 바로 소희는 알음을 꼬드겨 언니가 알려준 의식을 거행한다그 의식이란 한 밤중에 빈집에 가서 계약자를 소환하는 것이다그러면 계약자는 나타나 소원을 들어준다소희는 나신율과 사귀게 되는 소원을 말할 생각이다.       

 

삶은 누구에게나 무겁다

 

 절친인 소희는 귀엽고 밝은 아이다남자애들에게 인기도 꽤 있는 편이다하지만 그 귀여움과 밝음이 때로 알음에게 어린애의 응석처럼 느껴지기도 하는데맨날 하는 소리라고는 옷이 마음에 안 든다는 둥음식이 별로라는 둥 도무지 어른스러운 구석이라고는 찾을 수 없다계약자에게 부탁하려는 소원이라고 하는 것도 고작 남자와 사귀게 해달라는 것이다알음은 소희답게 소원도 유치하다고 생각한다.한가하게 그런 유치한 소원이나 빌고 있고 어떻게 하면 남자에게 이쁘게  보일까 하는 고민이나 하고 있다자신은 어디서 아이가 굴러들어와 가정이 파탄 날 지경에 이르렀는데 말이다.

 하지만 삶은 누구에게나 무겁다어른이 보기에는 걱정할 일이 전혀 없어 보이는 초등학생도 왜 이렇게 인생이 힘들지라고 한 숨을 내쉴 때가 있다물론 그 무게가 모두에게 공평한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삶의 무게를 저울로 정확히 잴 수 없을뿐더러 잰다 해도 의미가 없다각자의 저울그러니까 자신의 능력으로 무게를 판단할 뿐이다어른은 가볍게 들 수 있는 바위가 어린아이에게는 거대한 산처럼 느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알음은 소희의 하소연과 불만이 그저 철없는 응석으로 여긴다하지만 소희는 꽁알에게 오래 전 약점이 잡혀 아직까지도 괴롭힘을 당하고 있었고부잣집 아들에다 항상 자신감이 넘쳐 보이는 신율 역시 어릴 때 형이 교통사고로 죽은 상처를 갖고 있다겉으로는 아무렇지 않은 척 하지만 모두 각자의 인생이라는 짐을 지고 걸어나가고 있는 중이었다알음이 그랬듯이.

 

계약자의 등장

 

 소희와 의식을 치른 후이상하게 밤마다 알음에게 계약자가 찾아온다계약자가 착각을 했는지 소원을 빈 소희가 아닌 옆에 들러리로 따라갔던 알음에게 찾아온 것이다계약자는 아무것도 바라는 것 없이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한다이 이야기를 소희에게 들려줬더니 소희는 계약자가 대신 소원을 가져간다고 얘기했다소원을 들어주는데 조건이 소원을 가져간다뭔가 이상하다.

 계약자는 어김없이 알음에게 나타났다하지만 계약자가 약속을 지켜줄 생각이 없는지 알음에게 닥친 어려움은 해결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절친인 소희와는 더 소원해졌고 호감이 가는 신율과의 관계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그리고 꽁알에게 약점을 잡혀 나쁜 일에 이용을 당하고 있다계약자에게 한 가지 이상한 점이 있다면 나타날 때마다 모습이 바뀐다는 것이다처음에는 거미의 모습이었다가 베어브릭으로 바뀌었고 어느새 사람의 모습으로 변해 소희와 율 그리고 엄마와 꽁알의 형체를 하고 나타났다.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

 

 동물에서 피규어를 거쳐 사람의 모습으로 변한 계약자가 도달한 마지막 모습은 바로 나였다내가 곧 계약자였고 그는 나 자신이었다순간순간 나의 고민과 관심이 계약자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다알음의 욕망이 계약자를 만들어 낸 것이니 문제를 해결해야 할 사람 역시 계약자가 아니라 알음 자신이다.계약자가 했던 혼자가 되어야 원하는 것을 얻는다라는 말은 결국 모든 것에 앞서 나에 대한 이해와 반성을 필요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알음은 마침내 자신의 첫 그림을 완성한다선생님 지적했던 남의 것을 따라 한 것이 아닌 온전히 자신만의 그림이다. ‘그림 속에는 내가 서 있었다두려움에 떨면서 그러나 분노하며그리고 슬퍼하고 있었다길을 잃어 혼란스럽고버려져서 외로우며돌아가고 싶으나 망설이고 있었다(p205)’. 비록 멋있고 바라던 모습은 아닐지라도 그것은 현재 자신의 모습이었다알음은 자신에 대한 이해즉 나를 똑바로 응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알음은 혼자가 되었다하지만 사전적 의미 그대로의 혼자는 아니다자신을 이해할 수 있고 타인이 지고 있는 삶의 무게를 공감할 수 있는성숙한 혼자가 되었다아마 계약자의 말대로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이제 혼자가 아닌 혼자가 된 알음의 인생은 어떻게 펼쳐질지아니 알음 스스로가 어떻게 펼쳐나갈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