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세의 잔혹사 마녀사냥
양태자 지음 / 이랑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중세의 잔혹사 마녀사냥>은 마녀사냥을 주제로 한 흥미 위주의 이야기가 아닌 역사적 고찰을 위한 보고서 같은 책이다.
마녀사냥이 일어난 시대적 배경과 마녀사냥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는지에 대한 과정을 알려준다.
종교와 권력이 만들어낸 마녀사냥은 독일 지역에서만 약 6만여 명의 사람들을 마녀로 내몰아 죽게 만들었다. 광기의 잔혹사라고 표현할 정도로 수많은 사람들을 고통 속에 죽게 만든 것이 마녀사냥이다. 중세 유럽에는 왜 마녀가 필요했던 것일까?
저자는 직접 마녀사냥이 자행된 장소를 방문하고 취재한 내용들을 여러가지 도표와 그림 자료를 통해 보여준다. 마녀사냥에 관한 생생한 역사적 증거물들이다.
그 당시에는 누구든지 마녀 혐의를 받으면 끔찍한 고문 때문에 거짓자백을 할 수밖에 없었고, 끝까지 부인했다고 해도 억울하게 쫓겨나는 상황이었다. 마녀로 내몰린 그들은 중세 유럽의 권력자들이 휘두른 폭력의 희생자들이다. 인간으로 태어나서 길가에 핀 풀처럼 아무런 저항도 못하고 짓밟혔다는 사실에 분노가 치민다.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 간에 벌어진 비극적인 단면이다. 지배층의 권력 유지를 위해 마녀라는 희생양이 필요했던 것이다. 새삼 인간이 가진 악마적 속성에 대해 경악하게 된다.
동화나 영화에서 보는 마녀의 이미지만 떠올리다가 이 책을 보면서 불쌍하게 희생된 사회적 약자를 떠올리게 된다.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악랄하게 이용했던 권력자들이야말로 진짜 마녀가 아닐까.
어릴 때는 마녀사냥과 같은 자극적인 내용들을 볼 때 호기심이나 재미로 느꼈는데 역사를 통해 본 마녀사냥은 슬프고 가슴 아픈 대학살이었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도 마음이 불편하고 힘들었던 것 같다. 굳이 중세의 잔혹한 역사를 끄집어보는 건 역사적 비극을 통해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하는 게 아닐까 싶다. 어쩌면 현대사회에서 벌어지는 마녀사냥은 좀더 교묘해서 우리가 쉽게 간과하는지도 모른다. 인간은 누구나 평등하다, 그리고 행복해야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서로 다르다는 것이 틀리고 잘못된 것으로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 마녀사냥의 진실은 인간의 탐욕과 죄악에서 비롯된 사기극이었다. 중세 시대에는 무지하고 나약한 이들이 희생되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누가 어떤 식으로 마녀로 몰릴 지는 알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늘 진실을 가릴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