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사랑 나의 신부
이명세 지음 / 청조사 / 2014년 10월
평점 :
이명세 감독의 영화 <나의 사랑 나의 신부>를 봤던 기억이 난다. 1990년 개봉된 최진실, 박중훈 주연의 영화의 원작이다.
그리고 2014년 신민아, 조정석 주연으로 리메이트 되었다.
이 책은 소설을 읽는다기보다는 영화를 보는 느낌이 든다. 짧은 한 편의 이야기가 그대로 영상이 되어 눈 앞에 펼쳐지는 것 같다.
1990년대 봤던 영화들은 장면 하나하나가 기억난다. 그 시대의 여자와 남자가 사랑하고 결혼해서 지지고 볶으며 살아가는 이야기.
그때는 공감하며 웃었던 이야기들인데 새삼 글로 읽으니 세월이 느껴진다. 그때는 그랬었지,라는 느낌?
세상이 너무나 빠르게 변하다보니 여자와 남자가 사랑하는 모습도 결혼하여 사는 모습도 변하는 것 같다. 과거에 비해서 요즘 청춘들은 사랑표현에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것 같다. <나의 사랑 나의 신부>의 주인공들처럼 초등학교 동창으로 처음 만나서 대학시절 연애하고 결혼까지 골인하는 경우는 정말 드문 케이스다. 초등학교 첫 만남 이후에는 서로 한 번도 못 봤다는 전제가 있지만, 우연히 다시 만나 사랑으로 이어진다는 건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을 정도의 확률이 아닐까.
연애할 때의 풋풋하고 설레던 감정이 결혼하여 살면서 무뎌지고 서로의 관계가 삐걱거리는 건 대부분의 부부들이 공감하는 변화의 과정들이다. 이건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을 여자와 남자의 관계 같다. 사랑이라는 감정은 언젠가 식는다는 것. 하지만 그 사랑 때문에 울고 웃는 것이 우리의 삶이라는 것. 사랑을 수시로 변하는 감정으로 볼 것이 아니라 서로를 위해 배려하고 노력하는 삶의 방식으로 볼 것. 이렇게 말은 해도 여전히 사랑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모두가 꿈꿔 온 결혼은 꿈일뿐 현실과는 다르다. 살다보면 알게 될 일이다. 그렇다고 결혼이 어쩔수 없다고 체념할 정도로 비참하거나 끔찍한 건 아니다. 약간의 환상과 기대를 거둬낸다면 나름의 행복을 찾을 수 있다. 소풍날의 보물찾기처럼 말이다. 누구는 여러 개를 찾았는데 왜 나만 하나도 못 찾았냐고 투덜대지 말자. 못 찾은 것이지, 없는 건 아니니까. 열심히 매일매일 사랑하며 살다보면 사랑이 무엇인지를 언젠가는 알게 될 거라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