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에 나오는 한국 단편 소설 2 교과서에 나오는 한국 단편 소설 2
채만식 외 지음 / 강이북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과서에 나오는 한국단편소설> 두번째 책이 출간되었다. 여름방학에 읽으면 좋은 책인 것 같다.

18종의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단편소설 중 채만식의 <치숙>,<논 이야기>,<미스터 방>, 이효석의 <산>,<메밀꽃 필 무렵>, 이상의 <날개>, 김유정의 <만무방>,<금 따는 콩밭>,<봄봄>,<동백꽃>,<땡볕>이다. 단편소설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대를 함축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흐름이 짧다. 그래서 배경지식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읽으면 큰 감흥을 얻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렇다고 처음부터 뭔가 공부를 하듯이 작품 분석을 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이 책은 문학교과서도 아니고, 문학참고서도 아니다.

그냥 읽어보자. 청소년을 위한 필독서다. 아이들 입장에서는 추천도서나 필독서라고 정한 책들은 별로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그 시절에 읽은 책들은 가슴 속에 남는다. 머리로 이해하기는 힘들어도 문학작품만이 줄 수 있는 감성은 가슴으로 느낄 수 있다. 이제와 돌아보니 십대의 감성이 가장 순수하고 예민했던 것 같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 <메밀꽃 필 무렵>중에서

문장 속의 풍경을 한 번이라도 본 적이 없다면 제대로 느낄 수 없는 감성이지만 이 문장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자신의 머릿속으로 상상한 그 장면을 언젠가는 실제로 볼 날이 올 것이다. 문학작품 속 모습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과 항상 맞아떨어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살면서 십대 시절에 읽었던 문학작품 속 문장들이 떠오를 때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작품을 읽을 때에는 진정으로 주인공의 심정을 이해하는 시기가 올 것이다.

이 책이 처음 출간되었을 때는 교과서에 나오는 한국문학이니까 학습적인 면을 조금은 염두에 두었는데 두번째 책이 출간되어 만나보니 무엇을 목적으로 삼지 않아도 그냥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인으로 태어나 자라오면서 우리만이 느끼는 정서가 무엇일까를 생각하면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서 찾을 수 있겠구나 싶다. 청소년들에게 한국단편소설은 아직 덜 익은 과일처럼 느껴지겠지만 언젠가 더 세월이 흐르면 잘 익은 과일의 참맛을 느끼게 될 것이다. 교과서에 수록된 일부만 보고 끝날 것이 아니라 한 편을 제대로 읽어보자. 아이들과 함께 소리내어 읽어도 좋을 것 같다. 훌륭한 우리의 문학작품을 통해 아이의 감성도 한뼘씩 커나가지 않을까. 비록 작은책이지만 우리 아이들의 생각과 마음을 조금씩 성장시킬 수 있다는 걸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