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놀이의 반란 - EBS 다큐프라임 화제작!
EBS <놀이의 반란> 제작팀 지음 / 지식너머 / 2013년 6월
평점 :
<놀이의 반란>은 충격이다.
지금까지 부모로서 나는 무엇을 한 것일까?
언젠가부터 영재교육이라고 해서 조기교육의 열풍이 일었다. 교육열 높은 대한민국 부모로서 내 아이를 영재로 만들 수 있다는데 외면할 부모는 없을 것이다. 아직 돌도 안 된 아기에게 책을 읽어주고 여러가지 놀이를 해주면서 학습하는 일이 특별할 것이 없는 요즘이다. 그러다보니 아이와 놀아주는 것도 늘 학습과 연관지어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 놀이는 아이에게 어떤 면이 좋은 것인지, 어떤 면을 발달시킬 수 있는지를 따져가며 결과를 얻으려 하는 것이다.
근래에는 인터넷카페에서 엄마들이 학습교재나 교구 등을 공구하고 육아, 교육정보를 공유한다. 독서교육을 위해 책을 사서 읽어주고, 교구를 구입해서 놀아준다. 열심히 놀아주고 아이를 위해 신경쓰는 엄마들의 노력은 그만한 성과를 얻기도 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성장하고 엄마 품에만 머물지 않는다. 점점 자신의 개성이 생기면서 더 이상 엄마의 의도대로 따라주지 않는 시기가 온다. 아이의 인생 전체를 부모가 계획해 줄 수는 없는 것이다.
당신은 아이와 놀아주는 부모인가? 아니면 놀아주는 척 하는 부모인가?
놀이는 순수한 재미와 즐거움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요즘의 부모들은 나 역시도, 놀이를 통해 학습하고 무엇인가를 가르치려고 애쓴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그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 인식조차 하지 못했다. 아이와 놀아준다고 생각한 시간들이 정작 아이에게는 지루한 학습의 연장이었다면? 중요한 건 아이들은 누구나 뛰어놀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냥 심심하니까, 노는 게 재미있으니까. 어른들이 볼 때는 아이들의 단순한 놀이가 아무 소용없는 활동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놀고 있는 아이들에게 공부하라고, 정해진 운동을 하라고, 좀더 도움이 될 만한 활동을 하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놀이 속에는 아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신감과 사회성을 키우는 놀라운 효과가 있다고 한다. 어린 시절에 엄마가 놀아주는 것과 아빠가 놀아주는 것에는 차이가 있다고 한다. 정적이면서 감정적인 엄마의 놀이로 배울 수 있는 것이 있고 활동적이면서 이성적인 아빠의 놀이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이 따로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엄마가 알아서 놀아주고 가르치니까 아빠가 놀아 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또한 아이를 위해 체험학습장이나 박물관 등을 함께 가는 것을 놀아준다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 학습을 위한 놀이가 아니라 아이가 원하는 방식대로 놀아주는 것이 진정한 놀이인 것이다. 대부분은 아이와 놀아준다는 생각 때문에 부모가 먼저 규칙을 정하거나 주도해서 놀이를 이끌어 버린다. 그래서 아이들은 금세 흥미를 잃고 말을 듣지 않는다고 야단맞는 경우가 생긴다.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와 놀아주려고 했는데 아이가 제멋대로 하니까 못 노는 것이라고 단정짓는다. 사실 엄마들 사이에는 입소문으로 좋다는 교구를 들였다가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 남의 집 아이는 이 교구로 놀면서 쉽게 학습적인 능력이 생겼다는데 왜 우리 애는 안 되는 건지 답답해 한다. 똑똑한 아이로 키우기 위한 노력이 자칫 아이를 망치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을 통해 놀이의 중요성을 인식했다면 그 다음 문제는 어떻게 놀아주느냐를 알아야 할 것이다. 여기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아빠가 놀아주는 것이다. 늘 아이들 곁에서 챙겨주고 신경쓰는 엄마뿐 아니라 아빠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대부분의 아빠들은 아이들과 노는 일을 힘들게 생각한다. 어떻게 놀아줘야 할 지 모르기 때문이다. 어쩌면 지금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자신의 어린시절에 부모님과 함께 놀았던 기억이 많지 않을 것이다. 대신 동네 친구들과 신나게 놀았던 기억이 떠오를 것이다. 예전처럼 집 앞에만 나가면 언제든지 놀 수 있는 아이들이 있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겠지만 요즘 시대에는 아이의 첫번째 친구는 엄마, 아빠가 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부모가 제대로 놀아줘야 한다. 억지로 놀아주는 것, 학습을 위해 놀아주는 것은 이제 그만하고 재미있게 놀아주자.
세상에서 제일 좋은 소리가 뭐냐고 묻는다면, 아이들의 해맑은 웃음소리라고 말하고 싶다.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아이의 모습보다 신나게 뛰어노는 아이의 모습을 더 흐믓하게 바라볼 수 있는 부모가 되어야겠다. 제대로 놀 줄 안다는 건 인생의 즐거움을 안다는 것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