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들이 매하고 우는 이유 맹앤앵 그림책 13
폴린 팽송 글, 마갈리 르 위슈 그림, 박정연 옮김 / 맹앤앵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일본의 대지진으로 원자력발전소가 폭발했을 때, 우리 아이에게 설명해주면서 과연 아이가 제대로 이해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류의 발전은 지금 어느 단계까지 왔을까?  지구 온난화로 북극 빙하가 녹고 있어서 이대로 가다가는 인류의 생존마저도 위협받는 심각한 상황이다. 하지만 심각한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우리가 느끼는 위기의식은 크지 않았던 것 같다. 그러나 근래 일본 대지진은 정말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을 실감하게 만드는 사건이었다. 앞으로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양들이 매 하고 우는 이유>는 무척 심오한 책이다.

양치기 리암은 어느날 한 마리의 양이 전기 울타리에 감전되었다는 걸 알게 된다. 그런데 바로 그 양이 리암의 집에 들어와서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  양이 말한다는 자체도 놀랍지만 그 양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더욱 깜짝 놀랄 비밀이다.  그동안 전기 울타리에 감전된 양은 간혹 있었지만 56번 양처럼 말하는 양은 처음이다. 아주 오래 전 지구에는 인간보다 앞선 양들의 문명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 인간만큼이나 발전된 문명이었는데 갑자기 '양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하는 바람에 대부분 양의 선조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 그래서 살아 남은 양들은 기존의 문명을 버리고 자연으로 귀환하게 되는데 그 때 한 편의 시를 후손에게 남긴다.


“매번 우둔한 정신으로 사용하면  기술은 하찮은 것
정말 중요한 게 무엇인지 잊지 마세요.  특히 어린이의 눈을 간직하세요.“
― 시 ‘자연으로의 대 귀환’

그런데 자연으로 돌아간 양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언어마저 잊어버려서 시도 잊게 된다. 단지 시의 첫 글자인 '매'만을 기억하고 항상 '매'하고 우는 것이란다. 

사실 이 책이 말하려는 의도를 아이가 전부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양들을 보면서 우리 인간도 똑같아질 수 있다는 걸 생각해보는 기회가 된 것 같다.  거창한 인류 문명까지는 아니라도 환경오염의 심각성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아이에게 원자력의 위험성까지 알려줄 수 있는 그림책이다.  정말 양이 '매'하고 우는 이유가 그 시의 첫 글자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자연의 모든 동물들은 저마다 자신의 소리로 지구를 살리려고 애쓰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