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사생활 ㅣ 아이의 사생활 시리즈 1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 지음 / 지식채널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EBS 다큐프라임에서 방송을 본 것이 작년 일이다. 워낙 인상적이고 유용한 내용이라서 이렇게 책으로 출간된 것이 반가웠다.
<아이의 사생활>은 과학적인 분석과 실험을 통해 그 동안 몰랐던 아이의 내면을 보여준다. 타고난 개성, 남자와 여자의 두뇌 발달 과정, 두뇌 능력에 따른 효과적인 양육법을 알려준다.
방송에서 나왔던 내용이 그대로 한 권의 책에 실려 있어서 방송을 보고도 놓쳤던 내용까지 꼼꼼하게 살펴 볼 수 있다.
그래서 한 번에 쭉 읽어나가기 보다는 곁에 두고 틈나는 대로 읽는 것이 효과적이다.
늘 그렇듯 자식을 키우는 일은 머리가 아니라 마음으로 하는 일이라 처음 마음을 잊지 않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책은 부모들에게, 숨겨진 두뇌의 비밀을 풀어주면서 아이를 있는 그대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 동안 잘 몰랐기 때문에 아이와 어긋나고 가슴앓이를 했던 것 같다. 내가 낳은 아이라고 해서 아이를 전부 아는 것은 아니다. 아이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크다보니 다 알고 있는 듯 착각한 것이다. 아이가 어릴 때는 잘 모르다가 점점 사춘기가 되면 서로 간의 착각은 갈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기 전에 이 책을 만나서 다행이다.
아이를 키우면서 육아서 한 두 권쯤은 읽어봤을 것이다. 대부분 부모 자신을 돌아보고 어떤 마음으로 키워야 할 지를 조언한다.
수많은 부모들의 오랜 경험과 심리적 분석은 실제 육아에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교과서 같은 느낌을 준다.
하지만 이 책은 생생한 실전 지침서같다.
육아에 관한 이론, 과학적인 지식들을 실제 실험을 통해 뚜렷한 결과로 알려주니 정신이 번쩍 든다. 이럴수가......
부모는 아이의 성공을 꿈꾼다. 아이의 행복을 바라 때문이다. 그런데 아이를 성공으로 이끄는 열쇠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성공의 핵심요소는 자존감이다. 아이가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정도, 자신을 제대로 사랑하는 방법이라고 한다. 어떤 아이가 자존감이 높을까?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
만약 사랑도 기술이라고 본다면 열심히 제대로 배울 필요가 있다. 아이는 아기 때부터 부모가 자신을 대하는 태도를 보고 자란다. 어떤 방식으로 사랑해주고 아이를 받아들이느냐가 자존감 형성에 영향을 준다. 아이에 대한 사랑이 지나친 관심이나 간섭으로 표현된다면 아이는 가장 중요한 성공 경험을 놓치고 말 것이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아이에게 자신의 모습을 그려보라고 해보자.
실험에서 아이들이 그려놓은 그림을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 신체만족도가 높은 그림, 즉 자신을 밝고 멋지게 그려낸 아이들은 여러 실험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부모들은 자신의 사랑하는 아이를 위해 무엇을 해 줄 수 있을까?
올바른 사랑의 표현과 긍정적인 태도가 아이에게 그대로 흡수된다.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다. 부모의 자존감이 양육태도를 통해 고스란히 아이에게 대물림된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
<아이의 사생활>은 부모라면 꼭 읽어봐야 할 필독서다. 적극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