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단숨에 읽기는 오랜만이다. 이런저런 잡념이 많을 때는 책 읽기도 쉽지 않다. 그런데 이 책은 어린 시절 할머니의 이야기를 듣듯이 스르륵 그 속에 빠져든다. 오래 전 설화로 기억되던 <바리데기>가 우리의 역사 한 편으로 되살아난 듯하다. 낯선 북한 땅에서 일곱 번째 딸로 태어난 ‘바리’라는 소녀의 삶이 참으로 팍팍하다. 북한에서 중국으로, 다시 험난한 여정을 거쳐 영국에 이르는 모습은 생생하고 처절한 현실을 보여준다. 감히 상상하지 못했던 삶이라서 너무 놀랐고 그런 고통을 겪는 이들이 있다는 사실에 슬펐다.
바리공주는 왜 무시무시한 모험을 떠났을까? 바로 자신을 버렸던 부모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다. 사랑이라고는 받아보지 못한 채 버림받았는데도 말이다. 자신이 버림받았다고 하여 부모를 저버리는 것은 삶을 외면하는 것이다. 바리공주는 희망을 놓지 않았기 때문에 용서했고 자신을 희생하여 생명을 얻고자 한 것이다.
‘바리’라는 소녀는 현실에 존재하면서도 존재하지 않는 바리공주이며 우리 조국의 현실을 대변하는 것 같다. 분단된 조국과 고통 받는 북한 동포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분명히 우리와 같은 하늘 아래 살고 있는데 잊고 있었다. 바리공주를 버린 부모처럼.
서로 고통의 시간이 있었지만 용서하고 화합하기를 바라는 바리공주의 노력처럼 우리도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민족 간의 이데올로기가 무엇이기에 서로를 원수처럼 바라봐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한 개인이 거대한 흐름을 바꿀 수는 없겠지만 우리가 서로를 외면하지 않는다면 희망은 있다.
바리공주가 찾는 생명수는 어디에 있는가?
우리 민족의 아픔을 치유하는 힘, 각자 삶의 고통을 견디어 내는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문득 삶의 깨달음을 위해 고행하는 붓다와 바리공주가 겹쳐진다. 어리석은 중생들, 그 속의 나는 여전히 헤매고 있다.
압둘 할아버지의 말처럼,
“우리 모두가 철없는 것들이다.”
<바리데기>는 철없는 우리가 원하는 깨달음이다. 그리고 삶의 희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