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주일 짝꿍 3-165 - 제1회 웅진주니어 문학상 대상 수상작
김나연 지음, 오정택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11월
평점 :
장난감은 아이들에게는 즐거운 놀이 친구다. 하지만 단순히 놀기 위한 도구로 본다면 장난감 입장에서는 슬플 것 같다.
<일주일 짝꿍>은 장난감 대여점에 살고 있는 장난감들의 이야기다. 꼬마 친구들에게 일주일씩 보내졌다가 가게로 돌아오는 장난감들은 저마다 뽑히기를 원하면서도 한 편으론 두려워한다. 심술궂거나 장난이 심한 아이는 장난감을 함부로 망가뜨리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장난감끼리 못된 아이 길들이는 방법을 알려주겠는가?
<꿈꾸는 장난감>은 장난감 대여점 이름이다. 장난감들은 어떤 꿈을 꿀까?
아마도 아이들에게 사랑 받는 꿈일 것이다. 막내로 들어온 오리 장난감은 오자마자 3-165라는 번호표로 불려진다. 특별한 이름으로 불리고 싶지만 어쩔 수 없다. 그리고 처음 대여될 때 덤 취급을 받는다. 하지만 처음 만난 경오는 3-165를 특별한 짝꿍으로 생각한다.
보통의 아이들은 장난감에 금세 싫증을 낸다. 그 점이 장난감 대여점이 생긴 이유일 것이다. 다양한 장난감을 일주일 빌려 놀다가 돌려주면 그만이니까. 놀다가 망가진 것은 주인 아저씨가 고쳐주고 못 고칠 만큼 낡은 것은 손수레를 끄는 할머니가 가져간다. 그래서 장난감들은 할머니를 마귀할멈이라고 부른다.
장난감 대여점에 있는 장난감들이 순간 불쌍하게 느껴진다.
아이들에게 이용당하는 걸 알면서도 아이들이 짝꿍으로 받아들여주기를 소망한다. 오래된 장난감은 쓰레기차에 실려가거나 마귀할멈의 차지가 된다.
아이들은 이 책을 읽으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
그 동안 함부로 다룬 장난감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까? 조금은 그랬으면 좋겠다.
요즘 아이를 키우면서 걱정스런 부분이기도 하다. 비록 장난감이 이 이야기처럼 느끼고 생각하지는 않겠지만 아이들과 가까운 존재란 점에서 소중하게 여기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졌으면 한다. 장난감은 생명이 없지만 아이들의 사랑을 통해 생명력 있는 존재로 탄생되기도 한다.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해주면 <꿈꾸는 장난감>의 장난감들처럼 진짜 짝꿍, 친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어른 입장에서 보면, 장난감의 모습이 고달픈 현실을 살고 있는 사람들로 느껴진다.
자신의 능력껏 인기도 누리고 사랑 받지만 결국 대여 인생이라 세월의 흐름을 막지 못한다. 낡고 망가지고, 한 마디로 능력이 바닥 나면 쓸쓸히 사라지는 모습이 왠지 처량하다. 그러나 의외의 반전이 있다. 마귀할멈이라 불리던 할머니는 장난감에게 최후의 죽음이 아닌 새로운 삶을 준다.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화려한 순간은 인생의 잠시지만 의미 있는 삶은 마음 먹기 나름이다.
<일주일 짝꿍>은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은 장난감들의 소망처럼 우리들에게도 삶의 의미를 생각하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