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쿠다 히데오의 글이 어떤 매력이 있길래 사람들이 좋아하는지 몰랐다. 너무 사람들이 좋다고 하니까 왠지 읽기 싫단 생각도 들었다. 그러다 우연한 기회에 자의 반 타의 반 읽게 됐다.

오랜만에 책을 읽으면서 혼자 키득거리며 웃었다. 엉뚱하면서도 유쾌했다.

당신 신경정신과 의사 맞아?

그런데 희한하다. 전혀 상관없을 것 같은 비타민 주사와 처방이 효과가 있다.

뚱뚱하고 주책 맞은 아저씨 타입의 이라부 선생이 강박신경증 환자들의 구원투수로 등장한다. 황당한 의사 선생님과의 만남 속에 저절로 유쾌해진다.

현대인들에게 강박신경증은 감기몸살처럼 흔한 증세일 수 있지만 본인이 숨기면 티 안 나는 병인 것 같다. 그래서 속앓이 하는 병인지도 모른다.

우리는 일정한 나이가 되면 어른이라는 틀에 맞추어 살아간다. 해야 될 의무적인 일들과 해서는 안될 금기 사항을 지켜가며 사회가 원하는 사람이 되어가는 것 같다. 강박신경증은 뭔가 억압된 느낌이 점점 커져 통제력을 잃게 되는 것 같다.

개구쟁이 아이들에게는 강박증이 없다. 굳이 꺼리고 억제할 필요가 없으니까. 인생이 장난이냐고 어른들은 야단치시지만 개구쟁이들은 그저 즐겁기만 하다. 바로 이라부 선생이 그런 개구쟁이다.

다섯 명의 환자들은 나름의 강박증으로 괴로워하다가 최후의 수단으로 이라부 종합병원의 신경과를 찾아온다. 어두컴컴한 지하에 위치한 진료실에는 1인용 소파에 뚱뚱한 중년의 의사 이라부가 앉아 있다. 흰색 미니 스커트 가운을 입은 간호사 마유미짱과 더불어 묘한 진료실 풍경을 연출한다. 마치 사이코 드라마를 위한 전문 배우들 같다.

날카로운 것을 두려워하는 야쿠자, 공중 그네를 못하는 서커스단원, 장인의 가발을 벗기고 싶어하는 의사, 1루 송구를 두려워하는 3루수, 글을 쓸 때마다 이미 썼던 것 같아 불안한 여류 작가가 이라부의 환자들이다. 겉보기에는 멀쩡하고 자기 일을 잘 해내는 듯 보이지만 그 안에는 불안한 심리가 숨어있다. 내가 원하는 삶이 아닌 남들에게 보여지는 삶을 살다 보니 마음이 편치 않은 것이다. 자신의 실수나 잘못이 드러날까 봐 두려운 것이다. 마음이 닫힌 채로 살면 고인 물처럼 탁해진다.

그러나 이라부는 다르다. 눈을 번뜩이며 재미난 일을 찾는다. 그가 환자들을 치료하는 일, 그것은 일종의 유희 같다. 심각한 증세도 이라부 앞에서는 별 것 아닌 일처럼 느껴진다. 환자 입장에서는 재수없게 돌팔이 의사를 만났구나 싶지만 어느새 그에게 끌려간다. 강박신경증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은 다섯 살 아이 같은 마음으로 사는 것이다. 복잡하게 인생을 분석하고 따지기 보다는 지금 이 순간을 즐기는 마음이다.

세상에 신경 쓸 일이 얼마나 많은데 그런 한가한 소리를 하느냐고 묻는다면, 인생의 목적이 뭐냐고 되묻고 싶다. 걱정하고 신경 쓰다가 좋은 세월이 다 흘러간다.

인생을 완벽하게 잘 사는 것이 중요한가, 행복하게 즐기며 사는 것이 중요한가?

<공중 그네>를 읽으며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