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는 남자 1
이림 글.그림 / 가치창조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보는 만화다. 성인만화라고 하면 왠지 다른 상상이 되니까 어른만화라고 하고 싶다. 어른들을 위한 만화라서 꽤 진지한 메시지를 주는 것 같다.

<죽는 남자>는 시한부 선고를 받은 한 남자의 100일간의 모습을 보여준다. 의사는 길어야 3개월을 살 거라고 말한다. 주인공인 죽는 남자, 서영은 제멋대로 자신의 남은 삶을 100일이라고 정한다. 그리고 조금씩 삶을 정리하기 시작한다.

제멋대로가 삶의 방식이었던 그가 어떻게 남은 삶을 살까? 역시나 제멋대로다. 그런데 이해가 된다. 아니, 잘 모르겠다. 현재 건강하고 아무 문제 없는 내게 만약에 네가 시한부라면 이라는 식의 질문은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은 누구나 시한부 인생이다. 다만 자신의 죽음이 언제인지를 모를 뿐이지. 자신이 언제 죽을 지 모른다는 것이 축복일지도 모른다. 죽음을 미리 알게 된다면 남은 삶이 아름답기는커녕 죽음을 위한 카운트다운 같은 생각이 들 것 같다. 그런 면에서 강서영은 자신의 본성을 잃지 않고 잘 버티는 것 같다. 어쩌면 너무 외롭기 때문에, 의지할 곳이 없어서 더 강한 척 하는지도 모른다.

강서영과 관련된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그의 마지막 프로젝트가 된다.

여자친구였던 윤다희, 그녀의 직장동료 이현필, 그리고 노숙자 아저씨, 가장 중요한 사람인 아버지, 미운 새엄마가 그들이다. 강서영이란 사람은 참 한심하다. 죽음을 앞두고 주변에 사람이 너무 없다. 도대체 어떻게 산 거야?

젊은 나이에 죽는 것도 억울할 것 같은데, 막상 죽어도 슬퍼할 사람이 몇 안 되는 것 같다.

죽음을 꼭 슬퍼해야 하는가? 그래서 간혹 특별한 사람은 미리 자신의 장례식을 준비하는 경우도 있다. 자신의 장례식은 눈물 바다가 되는 것이 싫다고 즐겁게 마지막을 보내달라고 말이다. 그 정도 경지에 오르려면 삶을 제대로 깨달아야만 가능할 것 같다.

평범한 사람에게 죽음이란 주제는 다소 무겁고 거북하다. 그런데 이 책은 만화라는 가벼운 형식을 이용하여 죽음이라는 묵직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가벼움과 무거움이 섞였으니 적당한 무게를 지닌다면 좋겠지만 그 둘은 전혀 별개인 듯 느껴진다. 만화를 가볍다고 표현한 것이 잘못인 것 같다. 만화여서 가벼운 것이 아니라 이제껏 내가 본 만화들이 즐겁고 유쾌한 것이지 모든 만화가 그런 것은 아니다.

<죽는 남자>는 한 편의 영화 같다. 만화로 표현되어서 이미 주인공의 이미지가 뚜렷하고 구체적인 장면들이 시각적으로 보이니까 느낌이 바로 전해진다. 이것이 만화의 장점일 것이다. 내가 한 장씩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한 남자의 삶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하니 기분이 묘하다. 다행히 1권의 마지막 장은 80일이라는 시간이 남아있다. 다음 이야기가 궁금하면서도 삶이란 것이 책을 읽는 과정과 같다면 되도록 천천히 음미하며 읽고 싶다.

서둘러 읽다 보면 모르고 놓치는 것이 있을 것 같아서, 맛난 간식을 조금씩 베어 물 듯이 그렇게 이 책을 읽기 바란다. 아직 끝나지 않은 <죽은 남자 1>를 보고 나니 내 삶이 오늘은 더욱 특별하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