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기 두려운 메디컬 스캔들 - 젊은 의사가 고백하는
베르너 바르텐스 지음, 박정아 옮김 / 알마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전직 의사였던 작가의 양심고백이라고 할 수 있다.
병원에서 벌어지는 의사들의 말실수, 치명적인 의료 사고 등 실제 벌어졌던 일들을 여과 없이 담고 있다. 그래서 서두에 조심스럽게 <주의사항>을 밝히고 있다.
잘못된 병원과 의사들의 관행을 고쳐 보려는 의도로 쓰여졌기 때문에 현재 훌륭하게 의료 활동을 하고 있는 의사들과는 상관 없다는 점이다. 환자에게 헌신적인 의사들과 그런 의사를 만나 본 사람들은 이 책이 필요 없다. 문제는 이들을 제외한 일반 독자들이다.
이 책의 위험과 부작용은 책을 읽으면 병원과 의사에 대한 불신과 적대감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모르는 채 속는 것 보다는 제대로 알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솔직히 많은 부분을 공감했다. 그것은 아직까지 존경할 만한 의사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당연히 병원과 의사는 환자를 위해 존재하지만 그 사실을 잊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래서 환자로서 병원을 갈 때면 마치 죄인이 된 기분이 든다. 스스로 건강을 잘 관리하지 못한 대가를 받는 것처럼 말이다. 고압적인 분위기에서 자신이 무슨 질병이 생긴 건지 설명을 들을 수도 없다. 그저 의사의 처방 대로 정해진 약을 먹으면 그만인 것이다.
예전에 아는 분이 심한 두통 때문에 동네 의원에 간 적이 있다. 의사는 혈압을 재보고 높다면서 혈압약을 처방했다. 이전에 혈압 문제는 전혀 없던 분인데 연세가 많으니까 대충 진단을 내린 것이다. 머리가 계속 아픈데다가 두피가 이상해서 피부과를 가보니 대상 포진이었다. 두통의 원인도 그 때문이었다. 결국 본인이 피부과를 가지 않았다면 엉뚱한 혈압약을 계속 먹어야 했을 것이다.
환자는 철저히 약자 입장이다. 아픈 몸을 치료하기 위해 의사에게 전적으로 의지한다. 심리적으로 위축된 상황에서 의사는 대단한 존재가 된다. 그러나 냉정하게 자신을 맡겨도 될 만한 의사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환자와 의사의 관계를 종속적으로 만드는 것은 누구인가?
이들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쥔 것은 의사지만 주도권을 넘긴 것은 환자 자신이다. 예전에는 의학 지식에 관해 거의 몰랐기 때문에 무조건 의사에게 끌려갔다. 요즘은 의학 지식, 정보가 넘쳐나지만 병원과 의사라는 권위를 앞세워 환자를 꼼짝 못하게 만든다. 이제는 잘못된 권위에 맞설 때다.
그런 면에서 작가의 의지가 대단하다. 의료계의 치명적인 결점을 드러낸다는 것은 궁극적으로는 옳은 일이겠지만 쉽지 않은 선택이다. 그가 밝힌 내용들은 의료계의 어두운 진실이다. 상처는 감추고 덮어버리면 곪는다. 내 몸의 일부니까 상처를 그대로 놔두어야 될까?
아니다. 누군가는 상처 나서 곪은 부위를 도려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처는 더 커지고 심해질 것이다. 그는 자신이 속했던 의료계의 고질적인 병폐에 차가운 메스를 댔다. 눈 앞에 드러난 상처가 보기 흉하지만 직시해야 한다.
누가 상처를 냈느냐 보다는 어떻게 상처를 치료할 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당장 이 책으로 인해 의료계가 변하리라 기대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현명한 환자들이 많아지면 뭔가 바뀌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해본다. 책 말미에 <환자들의 생존을 위한 도움말>이 실제 우리 나라의 경우도 실려 있었다면 더욱 도움이 됐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