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을 만들 수 있습니까
히사이시 조 지음, 이선희 옮김 / 이레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인생에서 감동이란 삶을 느낄 수 있는 힘이라고 생각한다.

감동을 만들 수 있습니까?

언뜻 감동은 자연적인 것인데 어떻게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질문의 주인공이 히사이시 조라면 (그의 영화 음악을 들어 본 사람이라면) 어떤 의미인지 공감할 것이다. 그는 음악이라는 예술을 창작하고 있다. 시작은 클래식 음악에서 시작했지만 현재는 영화 음악가로 더 유명하다.

이 책은 그의 음악 인생을 보여준다. 인간적인 그의 모습이 아닌 음악가, 곡을 만드는 창작가로서 모습을 담고 있다. 우리에게 준 감동은 그의 인간성 때문이 아니라 그의 음악 때문이니까. 그가 어떤 음악관을 가지고 창작 활동을 하는지를 알려준다.

그는 자신을 예술가 보다는 비즈니스맨에 가깝다고 말한다. 순수 예술을 추구하던 시절도 있었던 그가 비즈니스에 뛰어든 것은 세상이 알아주지 않는 예술은 사라질 뿐이라는 걸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창조의 샘이 마르지 않도록 오케스트라 지휘, 피아노 연주회, 영화 감독까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는 대중적인 음악을 하지만 억지로 감동을 만들지는 않는다. 물론 대중을 의식하지 않을 수는 없겠지만 대중에게 잘 보이려는 의도가 아닌 바로 자기 자신을 감동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자신에게 솔직하면 대중에게도 통하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미 애니메이션 영화 <원령 공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바람계곡의 니우시카> 등의 영화음악으로 알려졌고, 이후 우리 영화 <웰컴 투 동막골> 영화음악으로 2005년 대한민국영화대상 음악상을 수상했다.

원래 애니메이션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데 우연히 <바람계곡의 니우시카>를 보고 무척 놀랐다. 장면과 음악이 어우러져 감동을 줬기 때문이다. 이전에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를 보면서는 뮤지컬을 보는 듯 유쾌한 느낌은 있었지만 다소 가볍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은 가슴을 울리는 감동이 있었다. 관객을 영화 속으로 빠져들게 하는 매력에는 영상과 음악의 조화를 꼽을 수 있다. 영상을 위한 배경음악이 아니라 영화 자체를 드러내는 테마음악인 것이다.

그는 진정한 프로다. 훌륭한 음악은 각고의 노력과 인내로 얻어진 결과다. 그에게 있어서 음악은 창작의 고뇌를 상징하지만 창작이 된 순간의 행복을 누릴 줄 안다. 그가 프로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자기 작품에 대한 집착, 독선에 빠지지 않는 균형감각, 강인한 정신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한다. 그에게 일이란 점点이 아니라 선線이다. 음악은 일이자, 그의 인생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좋은 곡을 쓰기 위해서 계속 곡을 쓰는 것.

프로professional란 계속해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히사이시 조

진정한 프로는 아름답다.는 말은 그를 표현하기에 적절한 것 같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음악가로서 진정한 프로인 그가 존경스럽다. 그의 말처럼 역사적으로 일본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지만 음악적인 감동이 얼었던 마음을 녹이는 것 같다. 아름다운 음악을 통해 세상을 더욱 아름답게 하는 모든 이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이 세상에 음악이 없었다면 감동을 만들 수 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