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인(惡人)은 묘한 책이다.

살인 사건의 범인을 추적하는 줄 알고 이야기를 좇다 보니 어느새 그 인물 속으로 빠져 든 나를 발견했다. 사건의 긴박감이 전혀 없어도 그 흐름을 놓칠 수 없었다.

 

그 동안 뉴스를 통해 보도되는 사건, 사고들을 보며 쉽게 말했었다.

어떻게 인간이 저럴 수 있지?”  흔히 결과를 가지고 판단하기는 쉽다. 그들은 범죄를 저질렀고 사람들의 손가락질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그들이 어떤 상황에서 그러한 행동을 했는지는 무심했다. 범죄자들 중 대부분은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사회로부터 환영 받지 못했다.

그렇다고 그들의 범죄 자체를 정당화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나는 그들과 다르다는 생각이 얼마나 오만하고 위험한지를 말하는 것이다.

 

악인은 가해자일까, 피해자일까? 이건 무슨 해괴망측한 질문인가 싶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은 고민하게 될 문제다. 과연 누구를 악인이라고 불러야 하는지, 또한 가해자와 피해자는 누구인지를 말이다.

사회의 잣대는 이분법적이다. 흑과 백, 선과 악, 가해자와 피해자.

사회 속의 악인은 범죄자이며 그들은 용서받을 수 없는 종족이다. 그들을 처벌하는 것은 선량한 사람들로부터 격리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개선, 교도한다고는 하지만 목적 달성은 힘들어 보인다. 한 번 악인으로 낙인 찍히면 돌이키기 어렵다. 악인을 손가락질 하는 사람들, 그들은 진정 선량한가?

그렇다면 소설 속의 악인은 과연 누구일까?

어쩌면 소설도, 현실과 다르지 않을 거라고 생각된다.

 

요즘 세상엔 소중한 사람이 없는 인간이 너무 많아. 소중한 사람이 없는 인간은 뭐든 할 수 있다고 믿어버리지. 자기에겐 잃을 게 없으니까 자기가 강해진 걸로 착각하거든. 잃을 게 없으면 갖고 싶은 것도 없어. 그래서 자기 자신이 여유 있는 인간이라고 착각하고 뭔가를 잃거나 욕심 내거나 일희일우하는 인간을 바보 취급하는 시선으로 바라보지. 안 그런가? 실은 그래선 안 되는데 말이야.” (448p)

   

악인은 범죄자와 같은 말이 아니었다. 범죄자가 악인일 수는 있지만 모든 범죄자가 악인은 아닐 것이다. 악인은 우리 내면에 있다. 자신과 상관없는 타인을 대하는 마음은 얼마든지 잔인해질 수 있다. 타인의 고통에 전혀 개의치 않는 잔인함이 곧 악()이다.

 

인간을 선량하게 만드는 것은 결국 사랑하는, 소중한 사람들이다.

문득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 떠올랐다. 자살을 시도했던 여자와 사형수인 남자의 만남. 삶이 외롭고 힘겨웠던 그들이 서로 마주본다. 서로를 마음에 품으면서 삶의 희망을 꿈꾸게 된다. 조금만 더 일찍 서로를 만났더라면.

그래도 그들은 안다. 짧지만 행복했던 시간들이 있었기에 삶이 기쁘다는 걸.

이 책은 악인을 밝히려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악인을 구원해 줄 희망이 무엇인지를 알려주고 있다. ()이라는 글자를 가만히 보고 있으면 십자가가 보인다. 죄인을 처벌하던 끔찍한 도구인 십자가가 현재 우리에겐 사랑의 고귀한 상징이 되었다.

그러고 보니 <악인>은 슬프지만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