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고든 뉴펠드 외 지음, 이승희 옮김 / 북섬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부모, 행복한 육아를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이 책의 핵심은 양육과 교육에 대해서 부모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가 아니라 아이들을 위해 부모가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를 이야기한다. 부모와 아이 사이에 애착 문제가 생기면서 아이들은 또래 친구에게 의존하게 되고 수많은 부작용이 발생된다. 여기서는 극단적으로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친구들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것은 또래 친구와의 관계가 중요하지 않다거나 어울리지 말라는 뜻이 아니다. 아이에게 가장 중요한 존재는 부모이다.
부모와 아이 사이가 원만하고 따뜻하다면 아이는 올바르게 자랄 것이다.
애착(愛着)은 아이에 대한 사랑과 믿음을 의미한다. 어떤 모습, 어떤 행동을 했기 때문이 아니라 조건 없이 주는 사랑이다. 그러나 지나친 과잉보호나 간섭은 아니다.
즉, 아이들이 필요로 하는 애정을 듬뿍 주기만 하면 아이들은 건강하게 잘 자란다는 것이다.
<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는 부모와 아이 사이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 같다.
문득 영화 <말아톤>의 한 장면이 떠오른다. 초원이를 데리고 동물원에 간 엄마는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아이의 손을 놓는다. 엄마는 초원이가 자폐아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괴로웠기 때문에 순간 아이의 손을 놓았던 것이다. 그러다가 다시 정신을 차리고 아이를 찾는다. 전혀 기억 못 할거라고 생각했는데 아이는 엄마가 손을 놓았다는 걸 기억하고 있었다. 엄마가 손을 놓았을 때 초원이가 본 것은 얼룩말이었다. 그 뒤로 얼룩말 무늬만 보면 잡으려고 하는 모습은 우연이 아닌 것이다.
부모의 입장이 되고 보니 그 때 초원이 엄마의 심정이 이해가 된다. 평범하고 정상적인 아이를 키우면서도 숱하게 아이의 손을 놓고 싶을 때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끝까지 그 손을 놓지 않는 부모의 사랑이 아이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 어렵고 힘든 부모의 몫을 훌륭하게 해 낸 분들을 보면 깊은 감동을 받는다. 그 분들이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것이라 믿는다.
우리 사회도 요즘 가출 청소년과 청소년 비행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라는 TV프로에 등장하는 어린아이들을 보면 소수의 문제가 아니란 생각이 든다. 대부분 젊은 부모들이 비슷한 육아 문제를 지녔고 고민하고 있다.
결국 아이의 문제는 부모와의 애착이 적절하지 못해서 발생된다. 해결과정을 보면 부모가 먼저 아이에게 좋은 본보기를 보이면서 애정을 듬뿍 주기 시작하면 기적 같은 변화가 일어난다.
조기 교육이나 해외 유학 등과 같은 교육열에 불타는 우리 나라의 부모들에게 이 책이 주는 메시지는 엄청난 의미를 지닌다. 나 역시 정신이 버쩍 드는 느낌이었다.
부모와의 애착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아이에게 부모의 지적이나 충고는 마치 낯선 사람의 비난이나 야유와 같다. 세상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내 자녀가 나를 낯선 사람처럼 여긴다면 얼마나 불행하겠는가?
어쩌면 좋은 부모가 된다거나 착한 아이가 된다는 것은 억지로 노력해야 얻을 수 있는 자격이 아닌지도 모른다. 모든 인간 관계 중 가장 기본은 부모와 아이 사이다.
서로가 행복하고 만족스러운가? 그렇다면 좋은 부모요, 착한 아이일 것이다.
“ 모든 아이는 애착을 통해 성숙하고 그 다음에서야 사회화되는 과정을 거친다.
애착의 단계 없이 사회성으로 건너 뛸 수는 없다.
아이의 사회성 계발을 맹신하는 부모들은
너무 일찍 아이들을 자신의 품에서 떨어내려 한다.
그런 과정에서 많은 아이들이 상처 받고
또래에게로 애착과 의존성을 옮기게 된다.
애착의 대상이 바뀌는 순간 부모의 권위와 힘도 사라진다.”
부모 자리를 또래들이 대신하게 두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은 위험하다.
아이들을 제대로 양육하려면 아이들의 잘못을 교정해야 하고 아이들의 애착 욕구를 부모가 채워줘야 한다. 우리 아이들의 양육자이자 멘토로서 본연의 역할을 되찾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