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탁상 위의 전략은 믿지 않는다 - 롬멜 리더십, 열정과 추진력 그리고 무한한 낙관주의 ㅣ KODEF 안보총서 7
크리스터 요르젠센 지음, 오태경 옮김 / 플래닛미디어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전쟁 영화나 전쟁 관련 책들은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 독일 사령관이었던 에르빈 롬멜에 대해 관심을 가진 것은 순전히 그의 인간적인 면이 끌렸기 때문이다.
롬멜의 어떤 점이 아군 뿐만 아니라 적군까지 그를 존경하게 만들었을까?
그는 전투를 통해 훌륭한 지휘관의 요소들을 깨우쳐 나갔다. 최고의 전투력을 얻기 위해서는 지휘관이 솔선수범 할 것과 강한 공격력으로 적군을 압도하여 싸우지 않고도 이길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을 추구했다는 점이다.
또한 그는 히틀러에 대한 충성의 맹세보다는 자기 병사들의 안전을 우선했다. 잔혹한 대학살을 저지른 히틀러와는 비교할 수 없는 인물이다. 그는 결국 히틀러를 제거하려 했다는 음모와 연루되어 죽음을 맞았다. 실제 내막은 자살하지 않으면 가족을 강제 수용소로 보내겠다는 히틀러의 메시지 때문에 자살한 것이다. 그는 가족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쳤다. 죽는 순간까지 옳은 선택을 했던 롬멜은 진정 위대한 군인으로 기억될 것이다.
이 책은 롬멜의 이야기로 시작되지만 제 2차 세계대전에 대한 전투 보고서라 할 만큼 사진과 전투 내용이 상세하다. 그의 뛰어난 전략과 전술이 어떻게 승리를 이끌어냈는지를 알 수 있는 책이다. 그를 ‘사막의 여우’로 유명하게 만든 북아프리카전의 전략은 적군을 속수무책으로 만들 정도로 기발하고 놀라웠다.
마치 동양 고전으로 <손자병법>이 있다면 현대판 <롬멜병법>이 아닐까 싶다.
그러나 전쟁의 전략, 전술이나 군사 관련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한 사람으로서 읽기에는 벅찬 느낌을 준다.
전쟁에 대하여 군대는 전쟁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전쟁을 막기 위한 것이라 가르쳤던 손자가 자꾸 떠오른다. 롬멜이 손자 만큼의 전략가였는지는 모르지만 히틀러를 지도자로 추종했던 점은 치명적인 실수였다고 본다. 훌륭한 전략가는 자신의 지도자를 제대로 볼 줄 아는 안목이 필요하지 않을까. 그렇지 않으면 자신이 추종했던 지도자로부터 배신 당할 테니 말이다. 그의 놀라운 승리들이 오히려 히틀러의 그릇된 욕망에 도화선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만큼 그는 훌륭한 지휘관이었다.
손자는 전쟁을 즐기는 오나라왕 합려에게 따끔한 질책과 가르침을 주었다. 적어도 합려는 무엇이 옳은지를 판단할 줄 아는 왕이었다. 그러나 손자가 다시 태어나 독일에 있었다 한들 미치광이 히틀러를 어쩌지는 못했을 것 같다. 히틀러 역시 사악한 심성을 제외하면 뛰어난 리더십을 지녔으니 말이다.
역사를 앞에 놓고 만약이라는 가정이 얼마나 부질 없는 짓인 줄 알면서도 롬멜을 알게 되니 더욱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제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전세계인의 고통과 비극은 엄청났다.
그의 전략, 전술이 훌륭했다는 사실이 내게는 역사적 비극으로 느껴진다. 전쟁의 승리자는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
전쟁은 두렵고 끔찍하다. 아무래도 내게는 군인이 될 소질은 전혀 없는 것 같다.
역사 속 피할 수 없었던 전쟁, 그 진실을 파헤치는 기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