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아프가니스탄.

내게는 낯선 나라다. 서남아시아 어디쯤 있다는 것 이외에는 아는 것이 별로 없다. 그야말로 관심 밖의 나라였다. 적어도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가끔 이슬람국가에서 벌어지는 여성 인권침해 소식을 들을 때면 경악하게 된다. 일부다처제는 기본이고 여성에게 강제로 할례를 한다는 이야기 등등. 마치 역사의 수레 바퀴가 그 곳만 비켜 간 것이 아닐까라는 상상을 하게 된다. 전세계의 흐름과 무관하게 격리된 그 곳에서 여자들은 짐승 취급을 받으며 온갖 고통을 당하고 있다.

이 책은 아프간 여성의 비극적인 삶을 그리고 있다. 그녀들이 할 수 있는 일은 한 가지, 고통을 참아내는 것이다. 마치 동물의 세계에서 약육강식을 보는 것 같다. 인간성은 사라지고 힘센 종족인 남성이, 약한 종족인 여성을 지배하는 것이다. 힘으로 누르고 복종을 요구한다.폭력으로 짓밟힌 여성은 남성의 편의대로 사육된다. 여성에게는 어떤 선택권도 자유도 허용되지 않는다. 그녀들이 누릴 수 있는 최대 행복은 아이에 대한 사랑인데 그것도 아이가 없다면 철저히 행복은 차단된 삶이 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분노했다. 그리고 가슴이 아팠다.

전쟁이 가져온 불행이다. 알라신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잔혹한 전쟁과 여성 탄압은 알라신의 잘못이 아니다. 신을 팔아 먹는 사악한 무리들 탓이다. 그것은 아프가니스탄 뿐 아니라 세계 어느 곳에든 있다.

마리암. 그녀는 세 명의 부인을 둔 잘릴에게 겁탈당했던 하녀 나나의 딸이다. 아버지 잘릴은 비겁하고 나약했다. 어머니 나나는 자신의 불행을 견디지 못했고 유일한 사랑인 마리암을 제대로 사랑할 줄 몰랐다.

라일라. 진보적인 부모 밑에서 제대로 교육을 받고 자라지만 전쟁으로 두 오빠를 잃고 나중에 부모님과 사랑하는 남자 친구 타리크를 잃는다.

전혀 다른 배경의 두 여인이 한 지붕 아래 살 수 밖에 없는 기구한 운명이 바로 아프간 여성들의 현실이다. 마리암이 너무나 사랑하고 의지했던 아버지 잘릴은 마리암의 불행을 외면했다. 존경하는 파이줄라 선생님은 그녀에게 코란의 가르침을 주었지만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는 없었다. 라일라의 아버지는 힘없는 지식인이었고 사랑하는 남자 친구 타리크는 한 쪽 다리를 잃은 어린 소년이었다. 마리암과 라일라, 절실하게 도움이 필요한 순간에 구원해 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마리암의 어머니, 나나는 말했다.

 내 딸아, 이제 이걸 알아야 한다. 잘 기억해둬라. 북쪽을 가리키는 나침반 바늘처럼, 남자는 언제나 여자를 향해 손가락질을 한단다. 언제나 말이다. 그걸 명심해라, 마리암.

사악한 남성을 대표하는 라시드. 남성우월주의자. 그를 두고 한 말 같다.

여자의 적을 여자로 만드는 건 남자들이다. 자신들이 적으로 몰리기 싫으니까.

그녀들 곁에는 사악한 라시드 뿐이었다. 아무리 벗어나려고 해도 꼼짝할 수 없는 상황이 끔찍스러웠지만 그녀들은 참았다. 사랑하는 아이들 때문에.

대항할 수 없다면 참아내는 것이 더 큰 용기일지도 모른다.

지붕 위에서 희미하게 반짝이는 달들을 셀 수도 없었고

벽 뒤에 숨은 천 개의 찬란한 태양들을 셀 수도 없었네.
차마 셀 수 없는 현실을 원망하거나 포기하지 않았다. 그녀들은 반짝이는 달들, 찬란한 태양들이 그 곳에 있음을 믿었다. 아프가니스탄 카불. 비극적인 그 곳에 희망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