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산책 - 세상을 움직인 경제학 천재들과의 만남
르네 뤼힝거 지음, 박규호 옮김 / 비즈니스맵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경제학 산책>은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경제학 책이다.

국민경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최초의 학자 애덤 스미스를 기준으로 그 이전의 경제를 간략하게 설명한 뒤 열 두 명의 경제학자들을 한 명씩 소개한다.

교과서를 통한 경제학 공부는 경제학자 이름과 그의 저서를 외우는 것이 전부였다면 여기서는 그의 출생부터 일생의 이야기와 함께 재미있는 경제 공부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경제학에 관심 있는 어른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에게도 적합한 책일 것이다.

실용 위주의 경제 서적은 아니지만 잘 몰랐던 경제학자들의 삶과 이론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과거 역사 속 위인부터 현존하는 인물까지 소개되어 경제학의 흐름을 살펴 볼 수 있다.

경제학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애덤 스미스의 이론은 오늘날에도 유효할 만큼 훌륭하다.

위대한 경제학자로서 세속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데이비드 리카도는 좋은 이론만큼 실용적인 것도 없다는 점을 알게 해준다. 반면, 최초의 공산주의자였던 칼 마르크스는 실제는 부르주아 출신이며 평생 궁핍한 생활을 했다는 것이 모순되게 느껴진다.

저자는 위대한 사상가의 이론은 단지 그것이 현실에 들어맞는가 여부에 따라 평가되지 않는다라고 말하지만 보통 사람 눈에는 아무리 훌륭한 이론도 현실과 동떨어졌다면 공감하기 힘들다. 그저 이론을 연구하는 사람에게는 하나의 근거가 될 수 있겠지만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열 두 명의 경제학자 중에 눈길을 끄는 두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은 존 내쉬로 영화 <뷰티플 마인드>로 처음 알게 된 천재 수학자이다. 서른 살 나이에 정신분열증으로 고통스런 삶을 보내다가 1994년 내쉬 균형으로 알려진 비협력적 게임 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사람이다. 현재는 자신의 병을 극복하고 학문적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고 한다. 영화의 영향때문인지 개인적인 면이 궁금하고 관심이 가는 인물이다. 사실 그의 업적보다 어떻게 자신의 질병을 스스로 통제했는지, 그것이 놀랍고 대단하단 생각이 든다. 어찌 보면 자신의 뇌와 게임을 한 것은 아닐까.

또 한 사람은 아마르티아 센이다. 빈곤과 기아, 불평등에 관한 기존 경제학자들 이론에 혁명을 일으킨 후생경제학 이론의 대가이며, 이 분야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타고르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최초의 인도인이며 센의 할아버지와 절친한 친구 사이였고,

불멸을 뜻하는 센의 이름 아마르티아는 타고르가 지어주었다고 하니 가히 운명적이란 느낌이 든다. 그는 기아의 원인이 식량 부족이 아니라 잘못된 분배라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증명한 최초의 학자다. 인도인들은 센을 경제계의 마더 테레사라고 부른다. 그의 이론은 현실에서도 큰 영향력을 지닌 위대한 업적인 것이다. 그리고 노벨상 상금도 소녀들을 교육하는 인도 재단과 남녀평등을 위한 방글라데시 재단에 기부했다. 참으로 존경스러운 인물이다.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날카로운 지적 능력과 부드러운 인간성을 겸비한 모든 경제학자들의 양심과도 같은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다.

좀더 나은 세상을 위해 연구하는 경제학자들을 알게 되어 기쁘다.

역시 훌륭한 이론은 현실 속에서 제대로 평가되며, 현실의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