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버웨어 판타 빌리지
닐 게이먼 지음, 나중길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급한 약속이 있어 길을 가는데 바닥에 쓰러져 피 흘리는 여자를 봤다. 주변에 당신 이외에는 아무도 없다. 어떻게 할까?

1.       그냥 모른 척 빨리 지나간다.

2.       전화로 구급차를 부른 뒤 그냥 간다.

3.       다가가 여자의 상태를 확인한다.

1,2번을 선택한 당신은 매우 현실적인 사람이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이 그렇게 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3번을 선택했다면, 다음은 어떻게 할까?

 여자가 나쁜 사람들에게 쫓기고 있으니 병원이 아닌 안전한 곳으로 데려가 달라고 부탁한다. 도와줄 것인가?

마치 영화의 한 장면처럼 느껴질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에서 피 흘리는 여자를 만날 확률이 얼마나 되겠는가. 그렇지만 현실이라고 해도 우리는 남의 일에 무관심한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길가에 스치는 수많은 사람들의 얼굴을 기억하는 사람이 거의 없듯이 우리는 매일 주변의 많은 것들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산다.

<네버웨어>의 주인공 리처드 메이휴는 위의 상황에서 3번을 선택한 사람이다. 주변의 어려운 사람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그였기에 약혼녀와의 약속보다 생명이 위태로운 낯선 여자를 선택했다. 누구나 위험에 처한 사람을 도와야 옳다는 것을 알지만 자신의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면 망설이게 될 것이다. 왜 하필 평범한 리처드가 주인공일까? 이미 짐작했겠지만 따뜻한 심장을 가진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는 망설임 없이 낯선 여자의 생명을 구했다.이 소설이 어른들을 위한 동화로 분류된 것도 리처드 덕분일 것이다.

어릴 적에는 자기 주변의 세계를 경이로운 눈으로 바라보았고 생명의 고귀함을 배웠다. 아름다운 동화를 읽으며 따뜻한 마음을 가꾸던 아이들이 어른이 되면서 변하게 된다. 남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먼저 챙기는 것에 익숙해질수록 마음은 점점 차가워진다. 주변보다는 자신만을 바라보게 되면서 많은 것을 보지 못하게 되고 많은 것을 믿지 못하게 된다.

보지 못하면 믿지 못하는 마음, 그것이 나를 포함한 어른들의 마음이다.

런던 지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지하세계를 알지 못한다. 설사 지하세계 사람이 곁에 있어도 볼 수 없다. 그들이 서로 말을 하기 전에는 말이다.

리처드가 생명을 구해준 여자 이름은 도어 Door이다.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안내하는 인 것이다. 새로운 세계를 만나려면 먼저 다가가 말을 걸어야 한다. 현실 속에서 주저하고 망설이는 사이에 놓쳤던 기회를 <네버웨어>를 통해 얻었다.

세상을 다시 바라보게 되었다. 런던 지하세계처럼 우리가 외면했던 세상.

책을 읽는 내내 처음의 질문이 머리 속을 어지럽혔다. 세상이 아름다운 건 아름다운 사람들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얼었던 마음을 녹이는 건 아름다운 마음을 만날 때이다.

작가 닐 게이먼은 <네버웨어>라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보고자 하는 사람은 볼 것이다.

리처드가 진정으로 소망하는 것, 그건 우리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아이들은 짧은 동화만으로도 알 수 있는 것을 왜 어른들은 길고 긴 이야기를 해주어야만 아는 것일까? 길지만 지루하지 않은 의미 있는 여행을 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