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서 구하라
구본형 지음 / 을유문화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기 힘든 세상이다. 서로 경쟁자가 되어 치열한 생존 싸움을 하는 것 같다. 그런 속에서 희망은 무엇일까? 작가 구본형은 말한다.  “사람에게서 구하라.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이 뭐냐고 물으면 대부분은 사람이 가장 무섭다고 답한다.

그렇다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무엇일까? 누구는 말한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고. 사람을 두고 너무나 상반된 이미지를 갖게 되는 것이 바로 우리의 현실이다.

작가의 마지막 말처럼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 속에 좋고 나쁨이 섞여 있는 것이다. 불완전하다는 것, 그것은 변화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있다.

‘어제보다 아름다운 나’를 소망하는 이들을 위한 책이다.

 바로 어제는 과거의 역사를 뜻하기도 한다. 0년 전 중국의 역사인 춘추전국시대의 뛰어난 인물들을 통해 현대적인 가치를 배울 수 있다는 점이 놀랍다. 역사를 수레 바퀴에 비유하듯이 돌고 도는 역사 속에 과거는 곧 미래가 되기도 한다. 저자의 말대로 역사와 문화의 기원이 어디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보석 같은 진리를 깨닫고 실천하는 사람이 바로 역사의 주인인 것이다.

역사를 사실적인 시대의 기록으로만 본다면 난해하고 지루한 분야일 수 밖에 없다. 죽은 자들의 이야기는 나와 전혀 상관없는 과거사라고 외면한다면 보석을 한낱 돌덩이로 취급하는 어리석은 사람이 될 것이다. 솔직히 일반인들에게 역사는 소외된 분야였다. 심하게 말하면 드라마나 영화로 소개되는 볼거리 위주의 역사였다고 할 수 있다. 부끄럽지만 내 경우를 말한다. 그러나 작가의 인간 경영론에 초점을 맞추어 새롭게 알아가는 역사 속 이야기는 너무나 흥미롭고 재미나다.

“ 일 년의 계획으로는 곡식을 심는 것만 한 것이 없고,

 십 년의 계획으로는 나무를 심는 것만한 것이 없으며,

 평생의 계획으로는 사람을 심는 것만 한 것이 없다.”

 이 유명한 말은 바로 중국 춘추시대의 재상이었던 관중의 말이다.

제대로 사람을 심는다는 것은 인재를 뜻한다. 역사는 그 시대의 인재, 훌륭한 리더들이 이끌었다. 인재는 어떤 사람인가? 공자는 인(仁) , 어짊이 우선이라고 했다. 그러나 춘추전국시대에는 남을 침략하고 정벌하는 것을 현명하다 여기는 시대로 천하는 이익을 다투게 되었다. 지금 현대 사회와 너무도 흡사하다. 그 때에 맹자는 인(仁)과 의(義)가 이(利)보다 우선임을 왕에게 충언했다. 바로 인간다움을 말한 것이다.

시대가 바뀌면서 많은 것이 변했어도 변하지 말아야 할 진리는 존재한다. 공자의 가르침이 그것이다. 변해서는 안 되는 것들, 그것을 잃으면 결국 사람을 잃게 된다는 인간사에 대한 지혜로운 통찰이다.

경영의 핵심에 사람이 있다. 인간을 이해하는 리더야말로 진정한 리더가 될 수 있다. 세계적인 경영인들, 흔히 우리가 부자라고 일컫는 이들은 이미 그 진리를 알고 있었다.

 
“ 사람이 되는 것이 사업을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성공하는 데 가장 큰 관건은 당신을 도와 기꺼이 함께 일해 주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리자청

 한 사람이 인재가 되고자 한다면 인간다움을 중요시 해야 하듯 경영에 있어서는 윤리 의식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기업 경영의 목적은 이익 추구이지만 이익을 좇다가 윤리를 저버린다면 그 대가를 치루게 될 것이다. 근래 아름답지 못한 기업의 소식을 접하면서 더욱 윤리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어제보다 아름다운 세상을 위해 우리가 언제나 가슴에 품고 있어야 할 그것을 이 책을 통해 얻었다. 사람과 사람 사이, 그 속엔 치열한 생존이 아닌 뜨거운 공존이 있었다.

아름다운 세상을 꿈꿔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