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그 새로운 이야기 - 권순긍 교수가 들려주는 우리고전소설
권순긍 지음 / 페퍼민트(숨비소리)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서양 고전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들이 많다. 그래서 학창 시절부터 교양서, 필독서로 많이 읽혀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 고전은 교과서나 참고서에 실려 시험을 위한 지식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 나 역시 그 수준을 넘지 못한다. 그러다 문득 우리 고전은 서양 고전에 비해 무엇이 부족한가를 생각하게 되었다. 작품성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나의 관심이 부족했음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발견한 책이 바로 <고전, 그 새로운 이야기>이다.

이 책은 고전소설의 재미를 알리기 위해 쓰여졌다고 한다. 한 시대의 베스트셀러였던 고전소설이 현재에 이르러 쇠퇴한 것은 일반인들이 그 재미와 매력을 모르기 때문일 것이다.

우선 작품에 어떤 의미와 숨겨진 이야기가 있는지를 들려 주는 것이 매우 흥미로웠다.

<금오신화> <홍길동전> <박씨전> <구운몽> <방경각외전> <열하일기>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토끼전> <배비장전> <채봉감별곡> 총 12편의 고전 소설이 소개되었다.

 

눈길 끄는 사람은 연암 박지원이다. 연암은 당시 집권세력인 노론의 명문대가 출신이었다. 그런 그가 예정된 출세의 길인 과거를 포기하고 양반층을 비난하는 불온한 글들을 썼으니

진정한 지식인의 성찰이며 용기란 생각이 든다. 연암의 글들은 참신하고 기발하여 당시 문단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는데 무엇보다 턱이 빠질 정도로 재미있어 당시 지식인 사회에 하나의 유행이 되어 연암체가 성립되었다고 한다. 조선의 사대부들이 앞다투어 그 글을 본받고자 했으니 현대판 유명 작가라 해야겠다. 훌륭한 작가는 글로써 시대를 대변하고 시대를 이끄는 힘을 지닌 것 같다. <열하일기>는 중국여행을 통해 근대적인 시각을 보여준다.

열하는 청나라 황제들의 여름별궁이 위치한 곳으로 온천이 많아 겨울에도 강물이 얼지 않는다 하여 불린 명칭으로 실제 표시된 곳은 온천수가 나오는 작은 샘이라고 한다. 연암이 중국기행문의 표제로 큰 강물이 아닌 작은 샘을 선택한 이유는 뭘까?

자기 자신이 근대 개혁을 향한 작은 물꼬를 튼다는 의미가 아니었을까 나름 추측해본다.

그의 작품은 통렬한 풍자를 통해 시대적 상황을 고발하되 재미를 놓치지 않았기에 대중의 호응을 얻었을 것이다.

북경 가는 길에 작은 마을의 상점에 걸린 <호질虎叱>이라는 글을 연암이 베끼자 상점 주인이 그 까닭을 물었다. 연암의 대답이 또한 걸작이다.

돌아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한 번 읽히면 모두 포복절도하여 입 안에 든 밥알이 벌처럼 날아갈 것이며 갓끈이 새끼줄처럼 끊어질 것이다.고 했다 한다.

 

소개된 작품 중 새로웠던 것은 <토끼전>이다. 표면적인 내용만을 알고 있었는데 이것 역시 동물우화를 통한 시대 풍자였다. 용왕은 현실세계의 왕을, 자라는 맹목적으로 충성을 바치는 신하를, 토끼는 지혜로운 민중을 상징한다. 우선 봉건체제의 절대적 권위를 상징하는 용왕이 병들었다는 사실 자체가 많은 의미를 준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국가대사를 논하는 조정 중신 모두가 비린내 나는 생선이라는 점이다. 생선 비린내는 바로 썩어빠진 조정에 대한 풍자인 셈이다. 봉건체제 모순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신재효는 전북 고창지방의 대표적인 아전이었는데 본인이 속한 계급조차 냉혹하게 비판하고 있으니 현실을 바라보는 안목과 식견이 대단했음을 알 수 있다.

고전소설은 단순한 재미나 문학사적 의미를 넘어선 역사 의식를 일깨워준다. 시대의 개혁은 현실을 제대로 볼 줄 아는 이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우리 역사를 바로 아는 것, 우리 고전을 읽는 것이 그 시작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