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화 이야기 - 틱낫한 스님과 데니얼 베니건 신부님이 세상에 전하는
벨 훅스 엮음, 김훈 옮김 / 황금비늘 / 2007년 8월
평점 :
스님과 신부님이 만났다.
서로 다른 종교를 가진 두 분의 만남은 아름다웠다.
어떤 분열과 다툼이 없이 각각의 종교가 하나의 일치를 향하여 가고 있다.
이 책은 종교 서적이 아니다. 평화와 정의 구현을 위한 이야기라고 하고 싶다.
종교가 그 교리에만 집착한다면 이미 그 빛을 잃었다고 할 수 있다.
세상을 구원하려는 노력은 종교를 초월하며 진정한 평화 운동인 것이다.
베트남전쟁에 대안을 찾고자 미국을 찾았던 베트남 승려 틱낫한은 고국으로부터 추방당하고, 미국 예수회 사제인 데니얼 베리건은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여 징집영장을 불사른 죄로 교도소 생활을 하다가 출소하여 반전 평화운동을 펼치다가 1974년 파리에 망명 중인 틱낫한 스님을 만나 나눈 대담을 기록한 책이다.
그 분들이 원한 것은 평화였다. 세월은 삼십 여년이 흘렀지만 세상은 아직도 평화를 구하고 있다.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끊임없이 노력하는 많은 분들이 있기에 세상은 아직 희망을 말할 수 있는 것이리라.
“ 베트남전이 진행되는 동안 무사태평하게 지낼 수 있었던 기독교학 교수는
학생들에게 괴로움만 안겨주는 교수에 불과했습니다.” –베리건
“ 불교 교리까지를 포함한 모든 교리에 집착하는 불교도들은
붓다를 배반하는 사람들입니다.” –틱낫한
종교는 수단일 뿐 세상을 구하지 않는 종교는 이미 종교의 의미를 잃은 것이다.
두 분이 종교는 다르지만 일치를 이룰 수 있었던 것도 신앙의 본질을 깨닫고 실천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직도 우리는 종교나 정치를 내세워 전쟁과 폭력을 정당화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중동의 불씨가 되고 있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미국의 제국주의, 전세계의 정치, 종교적 분열들은 언제 끝날까? 우리가 바라는 평화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두 분은 근원적인 ‘저항’을 이야기한다. 전쟁에 대한 저항보다 더 깊은 온갖 종류의 전쟁에 대한 저항이다. 현대사회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인간됨, 참다운 자신이 될 수 있는 능력을 박탈당하고 있다고. 우선 체제에 의해 침해당하고, 점령당하고, 폭행당하고, 파괴당하는 것에 반대하여 자아를 치유하자는 것이 저항의 목적인 것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환경이나 내용면에서 아름답고, 치유를 도와주고, 우리를 생생하게 되살아나게 해주는 저항 공동체이다.
“ 많은 수행공동체에서 사람들이 기도를 하고 명상을 하나 저항은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그들이 제대로 기도하고 명상하지 않기 때문일 겁니다.” –틱낫한
두 분의 이야기를 보면서 눈 앞을 가로막고 있던 무언가가 떨어져 나간 기분이다. 그 동안 외면했던 세상을 제대로 바라보게 되었다. 전쟁과 폭력은 TV 속 드라마가 아닌 현실이었다. 요즘 같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선택하고 명상하고 내면적인 삶을 사는 것은 중요하다. 건전하고 온전한 마음자세를 가져야 큰 세계와 큰 거짓말과 거리를 두고 참된 세계를 바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인간 내면에 목적을 의미하는 삶에서 꼭 필요한 순수성과 사랑을 일깨워주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필요한 것 한가지를 꼽으라면 <평화>라고 말하고 싶다.
<평화>의 의미를 새롭게 깨닫도록 해준 아름다운 책이다.
모든 분들과 함께 <평화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