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런던에서 꼭 봐야 할 100점의 명화 - 내셔널 갤러리에서 테이트 모던까지
제프리 스미스 지음, 안혜영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07년 10월
평점 :
예술이 주는 감동은 무엇일까? 사실 내게 예술은 먼 나라의 얘기처럼 낯설은 분야이다. 그러나 유명한 명화들을 볼 때면 단순히 바라보는 것이 좋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렇게 바라보는 것이 예술 감상의 시작이 아닐까.
런던에서 만나는 100점의 명화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 애호가들을 염두에 두고 선정한 작품들이라고 한다. 저자는 런던에 있는 수많은 작품 중 미술사적으로 가치 있는 작품 100점을 갤러리 별로 소개하고 있다. 내셔널 갤러리나 테이트 브리튼, 코톨드 인스티튜트 갤러리, 덜위치 픽쳐 갤러리, 에스토릭 컬렉션, 켄우드 하우스, 존 소안 경 박물관, 테이트 모던, 빅토리아&앨버트 박물관, 월리스 컬렉션에 대한 설명과 찾아가는 길, 입장료, 개장시간, 부대시설 등에 대한 설명이 있고 그 곳에 소장된 명화에 대한 작품 설명이 되어 있다.
솔직히 미술 교과서 이외에는 명화를 본 적이 없는 초보에게는 너무나 친절한 책이다.
저자인 제프리 스미스는 미술사 전문가로서 40여 년간 미술관을 돌며 견문을 넓혔다고 한다. 이 책에 소개된 미술관을 보며 예술이 생활 속에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수의 미술관과 입장료가 무료인 곳도 있으니 시민 누구나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여건이 되어있다는 점이 부러웠다. 솔직히 미술관은 특정한 예술가, 전문가들을 위한 곳이란 생각에 쉽게 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서 미술 작품에 대해 부담 없이 만날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화가는 낯설지만 훌륭한 그림은 친근한 느낌을 주었다.
많은 작품들 중에 엘리자베스 루이즈 비제 르브룅의 ‘밀짚모자를 쓴 자화상’은 너무나 아름답다. 화사한 전체적인 모습과 뭐라고 말할 것 같이 입술을 살짝 벌린 모습이 인상적이다.
또 렘브란트의 ‘두 개의 원이 있는 자화상’은 얼굴에 드리운 명암 속에 심오한 표정이 눈길을 끈다. 뒤에 그려진 두 개의 원모양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는 알 수 없지만 화가의 정신 세계를 상징하는 것이지 않나 하는 짐작을 해보았다.
이브 클라인이나 마크 로스크의 작품은 색채로만 표현한 단순한 형태의 순수한 추상미술이라고 하는데 화가의 심오한 의도를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저 그림은 무슨 느낌인지 잘 모르겠다. 예술이란 그런 다양한 표현의 시도라는 점에서 한참 바라보았다.
그냥 바라보기만 해도 좋은 그림이 좋다는 단순한 초보 감상가로서 초상화, 자화상 등의 그림이 좋았다.
직접 런던을 방문한다 해도 이런 좋은 작품이 모두 전시되지는 않기 때문에 사진으로나마 감상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맞는 말이다. 예술을 모르는 초보의 눈에는 왜 이 그림이 다른 것보다 뛰어난 작품인지 구분하기 힘들다. 그러나 모른다고 외면하기에는 예술이 주는 즐거움과 감동은 큰 것 같다.
예술은 몰라도 예술을 느낄 수는 있다. 그러나 예술을 알게 되면 더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많은 분들도 이 책을 통해 훌륭한 예술 작품을 즐기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