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좋은 결정을 위한 뇌과학
조엘 피어슨 지음, 문희경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인생은 선택의 연속, 우리는 매일 수많은 선택을 하며 살고 있어요.
된장찌개냐, 김치찌개냐, 혹은 짜장이냐, 짬뽕이냐처럼 무엇으로 정하든 크게 상관 없는 일들만 있다면 모를까. 어떤 선택은 목숨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신속하게 더 나은 결정을 내려 행동하는 직관의 힘이 생존 능력이라고 봐야 해요. 그러니 생존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직관이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 같아요.
《더 좋은 결정을 위한 뇌과학》은 신경과학자 조엘 피어슨의 책이에요.
저자는 지난 25년 동안 인간의 뇌에서 무의식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 관해 연구해 왔는데,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방대한 정보가 의식되지 않은 채 처리될 수 있고, 무의식의 미묘한 작용이 우리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거예요. 직관에 관한 과학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지만 이 책에서는 오래전부터 심리학과 신경과학에서 실시한 수많은 연구에서 추려낸 다섯 가지 규칙인 SMILE (S 자기인식 - M 숙달도 - I 충동과 중독 - L 낮은 확률 - E 환경)을 간결하고 실용적인 규칙으로 정리하여 누구나 쉽게 직관을 활용하여 더 나은 결정을 내리도록 돕고 있어요.
우선 직관이 무엇인지 알아야 해요. 직관은 단순히 우리가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지 않은 무언가가 아니며, 좋거나 나쁘다는 식의 흑백논리로 정의할 수 없어요. 저자가 정의한 직관은 "의사결정과 행동을 위해 무의식적 정보를 학습하고 생산적으로 활용하는 것" (71p) 이며, 학습된 기술이라는 거예요. 그래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선택을 하는 경우가 생기는 거예요. 우리 뇌는 선택과 결과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기 때문에 직관을 개발하는 맥락과 환경이 중요한 요인이라서 특정 분야에서 개발된 직관은 다른 상황이나 환경에서는 작동되지 않는 거예요. 따라서 우리는 직관을 사용하고 신뢰할 수 있지만 항상 모든 주제에 적용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해요. 직관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 그리고 직관이 언제 작동하고 언제 작동하지 않는지를 이해해야만 잘못된 직관에 빠지는 실수를 피할 수 있어요. 책에서 알려주는 다섯 가지 필수 규칙을 충족하지 않은 채 직관을 따르면 최선이 아닌 선택을 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커지는 거예요. 직관 연습을 시작할 때는 일상에서 천천히 안전하게 시작해야 한다고 당부하네요. 저자는 일에서든 사생활에서든 확률을 다룰 때는 직관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데, 그 이유는 우리의 편향되거나 불안한 감정은 직관이 아니니까, 확실한 숫자와 통계 과학에 기대야 하는 거예요. 사실 SMILE에서 가장 지키기 어려운 원칙은 E, 즉 환경이며 우리는 새로운 환경이나 달라진 환경에서는 직관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잊지 말아야 해요. 최적의 직관 연습을 위해서는 직관을 사용한 과정을 기록하고 직관을 추적하는 앱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어요. 꾸준히 훈련을 통해 반복한 전문가들이 최적의 결정과 행동을 하는 것처럼 우리 역시 직관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익히면 직관의 힘을 키울 수 있어요. 직관의 과학, 혼란한 상황일수록 과학이 올바른 기준과 방향을 제시해주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