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 지브리 이야기
스즈키 도시오 지음, 오정화 옮김 / 대원씨아이(단행본)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추억의 힘은 강력한 것 같아요.

그때 그 시절에 봤던 만화들, 아마 제목만 대면 다들 "아하! 그거."라는 반응을 하지 않을까 싶네요.

바로 그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했던 스튜디오 지브리에 관한 책이 나왔어요.

《스튜디오 지브리 이야기》는 '명작의 산실 스튜디오 지브리 40년의 역사'를 담은 책이에요.

이 책은 엄청난 사랑을 받았던 스물일곱 편의 작품들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우리가 모르는 스튜디오 지브리만의 창작비법과 제작, 경영의 모든 과정들을 보여주고 있어요. 첫 번째 작품은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인데 지브리 설립 전에 제작되어 '스튜디오 지브리' 탄생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하네요. 애니메이션 잡지 <아니메주>를 출간하는 출판사 도쿠마 쇼텐이 영화 기획을 검토하면서, '원작이 없는 작품은 영화화할 수 없다'라는 결론을 내리자 미야자키는 원작 만화를 그려보겠다며 만화 연재를 시작했고, 반년이 지날 즈음 10분짜리 파일럿 필름을 제작 발표하여 본격적인 영화화가 이루어졌대요. 프로듀서를 맡은 다카하타는 미야자키 혼자 모든 것을 짊어지면 영화를 만들 수 없다는 생각에 톱 크레프트의 제작진과 외부 제작진들이 함께 참가하여 수준 높은 작품이 완성되었고, 영화가 대성공을 거두면서 다음 작품인 <천공의 성 라퓨타> 제작과 더불어 스튜디오 지브리의 탄생으로 이어졌다고 하네요. 회사명 '스튜디오 지브리'는 미야자키 하야오가 제안한 것인데, 지브리(GHIBLI)는 사하라 사막에 부는 뜨거운 바람이라는 뜻과 제1차 세계대전 중 이탈리아 군용기의 이름으로도 사용된 단어라고 해요. 원래 이탈리아어 발음은 '기브리'인데 미야자키가 '지브리'라고 생각해서 그대로 '지브리'라는 발음으로 굳혀진 거래요. 뭔들 어떠하리, 애니메이션 명작의 산실은 누가 뭐래도 지브리인 것을.

지브리의 생생한 역사를 보여주는 작품들을 시간순으로 만날 수 있다는 점이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천공의 성 라퓨타>도 호평을 받으면서 다음 작품은 <이웃집 토토로>와 <반딧불이의 묘> 두 편이 동시 상영되었고, 그 다음은 <마녀 배달부 키키>를 거쳐 줄줄이 명작들을 선보이다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열두 번째 장편영화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감독의 은퇴 철회 등 우여곡절을 지나 2023년 7월 14일 개봉했는데 전혀 홍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해외에서 모두 크게 흥행하였고, 이 작품으로 세 번째 오스카상을 받았으니 그야말로 영광의 40년이네요. 현재 스튜디오 지브리의 대표이사이자 프로듀서인 스즈키 도시오는 후기에서, "'지금=여기'에 산다. 그것이 미야 씨가 삶을 대하는 태도다. 그런 미야 씨이기에 그는 지난 이야기는 하지 않는다. 미야 씨와 만난 지 올해로 45년. 하지만 우리는 옛 추억에 젖어 과거의 이야기를 나눈 적은 한 번도 없었다. 대화의 주제는 언제나 지금과 가까운 미래에 관한 이야기뿐. 그래서 질리지도 않고 싸우지도 않아 사이가 좋다. 나와 미야 씨는, 과거는 모두 물에 흘려보냈으며 내일은 내일의 바람이 불어온다. 그렇게 미야 씨는 어느새 82세가 되었고, 나도 곧 75세가 된다. 미야 씨가 항상 '중요한 것은 스즈키 씨가 기억해 줘.'라는 말을 했기 때문에 기억을 더듬어 찾아가려면 지금밖에 없어서 그런 경위로 이 책을 기획하게 되었다." (520-521p) 라고 했는데, 이것이 미야 씨와 스튜디오 지브리의 핵심인 것 같아요. 일본 애니메이션의 기틀을 만든 스튜디오 지브리, 수많은 명작들을 통해 꿈을 현실로 만들어온 지브리의 사람들을 만나는 특별한 시간이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