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 자는 곳 사는 곳
다이라 아즈코 지음, 김주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야마네 리오는 구인 정보지 회사<하이어드림>의 부편집장이다. 직함만 보면 그럴 듯 하다.그러나 그녀의 삶은 빛 좋은 개살구같다. 서른 번 째 생일날, 나이 먹는 것도 서러운데 축하해 줄 사람도 없으니 최악이다. 그런 그녀에게 낯선 바람이 불어왔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지만 유독 서른 살은 남다른 의미를 준다. 갓 스무 살이 되었을 때는 성인이 되었다는 뿌듯함과 해방감을 느끼지만 서른에 들어서면 잠시 주춤하게 된다. 마냥 젊음을 만끽하기보다는 서서히 책임을 느끼게 되는 시기랄까?

내게 서른은 그런 의미였다.

내 삶의 열정은 살아 있는가?

지금 자신의 일에 열정을 가진 사람에게 나이는 숫자에 불과할 수 있다. 그러나 그냥 먹고 살기 위해 일하는 대다수의 사람에게 나이는 카운트다운을 외치는 심판의 목소리처럼 조급함을 느끼게 한다. 뭔가 열정적인 펀치를 날려 보지 못한 아쉬운 인생, 시간만 자꾸 가고 있으니 어찌 나이를 무시할 수 있을까?

서른을 맞이한 리오의 인생은 다도코로 데쓰오를 만나면서 살 만한 인생이 된다. 어떤 직함이나 누군가의 평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진정한 자신을 찾는 것이다.

껍데기는 가라.우리를 살 맛나게 하는 것은 열정을 되살리고 즐기는 자기 자신이다.

 

이 책에는 두 명의 여자가 있다. 하나는 서른의 리오, 다른 하나는 사십 대의 사토코.

그녀들에게 인생 전환점이 된 곳은 가기야마 건축 회사이다. 집을 짓는 회사이다.

건축에 관해서는 초보인 그녀들이지만 열정만큼은 수준급이다. 나 역시 건축에 대해 아는 바가 별로 없지만 건축 일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감탄했다. 우리가 흔히 노가다라고 부르며 천시하던 그 일이 이토록 매력적이었구나. 아무것도 없는 땅 위에 새로운 건물을 창조해내는 작업. 더군다나 그들이 만드는 건 개인 주택, 집이다. 집은 그저 비바람만 피할 수 있는, 먹고 자는 곳의 개념이 아니다. 마음 편하게 쉴 수 있는 엄마 품과 같은 곳이다.

먹고 자는 곳, 사는 곳, 그리고 마음이 담긴 곳. 마이 홈

 

 무슨 일이든지 열정과 신념을 가진 사람을 보면 존경스럽다. 그 사람을 존경하게 만드는 것은 그가 하는 일 자체가 아니라 그가 일을 대하는 마음 자세에서 비롯된다.

문득 한 이야기가 떠오른다. 공사장에서 일하는 세 명의 인부가 있었다. 첫 번째 인부에게 무슨 일을 하느냐고 물었더니 벽돌을 쌓는 일을 한다며 투덜거렸다. 그는 평생 벽돌공으로 살 것이다. 그는 그저 남이 시키는 일만 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인부에게 물었더니 벽을 만들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개념은 있기 때문에 적어도 현장 감독은 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인부에게 물었더니 그는 아름다운 교회를 만들고 있다고 답했다. 그에게 벽돌 쌓는 일은 단순 노동이 아닌 교회라는 건축물의 한 부분을 만드는 가치 있는 일인 것이다. 단순 노동자가 되느냐 예술적인 장인이 되느냐는 생각의 차이인 것이다.세상의 모든 일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리오가 과감하게 부편집장 일을 그만 둔 것도 그 일을 통해서는 열정이 생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때는 그녀의 꿈이었지만 이제는 아니다.

그녀는 서른 살, 과감한 인생 재설계를 시작했다. 이제는 현실을 탓하지도,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그녀는 꿈을 짓는 사람이 되었으니까.

우리의 가슴을 뜨겁게 달구는 것은 무엇인가?
먹고 자는 것, 사는 것,그리고 열정적인 꿈을 품는 것마이 라이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