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도 여자를 모른다 - 이외수의 소통법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외수…작가의 이름 석자만을 보고 책을 골랐다.

이유는 없다. 그저 그의 글들이 좋으니까.

<여자도 여자를 모른다>

가로16 x 세로25 - 제법 큰 책 속에는 반 토막도 안 채워진 글과 이름 모를 야생화가 그려져 있다. 203개의 짤막한 글들과 55개의 야생화 그림. 이렇게 숫자를 나열한들 이 책을 설명할 수 있을까?

그러나 우리들은 어떤 사람을 이렇게 설명한다.

25살, 키165센티미터, 몸무게55킬로의 용모 단정한 여자.

이런 설명과 기준만으로 평가되는 세상.

‘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에 뭐라고 답할 수 있는지 생각해 봤다.

아무리 골똘히 생각해도 답은 하나 뿐이다.  “나는 나다.”

여자도 여자를 모르고, 남자도 남자를 모른다.

그러나 여자와 남자는 사랑을 한다.

이별을 한다. 아파한다.

사랑했기 때문에 아픈 거라고 생각한다.

아니다.

사랑을 모르기 때문에 아픈 것이다.

나만을 생각하는 사람은 내 아픔만을 생각하기 때문에

자기 아픔이 가장 크다고 생각한다.

자기 자신을 사랑해서 아픈 사람은 없다.

사랑은 마음을 아프게 하는 것이 아니다.

행복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면서 아프다고 한다.

사랑이 뭔 줄도 모르면서.

이외수의 소통법은 그런 식이다. 그의 글을 읽노라면 나도 모르게 빠져든다.

이외수가 말하는 진정한 사랑은 꽃가게에서 파는 다듬어진 꽃다발이 아니다.

우리처럼 이 땅을 밟고 서 있는 야생화 같은 것이다.

무엇을 위해서가 아닌 그저 살아 있기 때문에 아름답게 꽃을 피워내는

야생화 같은 것이다.

우리에게 사랑은 본능이다.

누굴 미워하고 시기하고 화내고 짜증내는 사람은 자신이 더욱 괴롭다.

그것은 자신의 본능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내가 누구인지, 사랑이 무엇인지 이 책에서 알려고 하지 말자.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잠시 잊고 있을 뿐이다.

이 책은 우리가 잊고 있던 사랑을 보여 준다. 아름다운 야생화를 보며

흐믓한 미소를 지어 본다. ‘ 너, 거기에 있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