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클래식 - 눈과 귀로 느끼는 음악가들의 이야기
김호정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 한결같은 감동을 주는 것들이 있어요.

그 중에서 음악은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힘이 있어요. 장르 구분 없이 음악의 세계는 열린 마음으로 대하고 있지만 클래식 음악은 보이지 않는 벽이 존재했던 것 같아요. 아무래도 클래식 음악을 전공하는 이들만의 전유물처럼 느껴지는 분위기랄까요. 근데 요즘은 달라졌어요. 이전과는 달리 대중들을 위한 클래식으로 바뀌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요. 아마 제가 바뀐 건지도 모르겠네요. 클래식 음악의 매력에 눈을 뜬 느낌?

《더 클래식》은 중앙일보 문화부의 클래식 담당 기자인 김호정 님의 책이에요.

이 책은 중앙일보의 구독 서비스인 더중앙플러스에 연재했던 '김호정의 더 클래식'을 모으고 덧붙여 다듬은 것이라고 하네요. 단편적으로 접했던 내용들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날 수 있어서 좋네요.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피아니스트 4인, 백건우, 손열음, 조성진, 임윤찬의 이야기와 함께 QR코드로 연주곡을 청취할 수 있어요. 그냥 들어도 '와, 좋다~'라고 느끼지만 피아니스트만의 개성과 특징에 관해 알고 난 다음에 들으니까 더 신기하고 놀랍네요. 인터뷰 내용을 보면 음악가의 내면을 살짝 엿볼 수 있어요. '흑건(연습곡 10의 5번)을 연주할 때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느냐는 질문에 임윤찬 피아니스트는, "개인적으로 동양적인 그런 느낌이 있어요. 근데 그게 왜인지는 저도 잘 몰라요. 그리고 딱 들었을 때 오른손들은 그게 사실 자연이에요. 흑건의 오른손은 자연이라고 생각해요. 선생님은 '작품번호 25의 6번에서 오른손 3도 화음은 그냥 바람이 아니라 좀 쓸쓸한 바람이다'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10의 5번은 뭔가 반짝이는 무언가가 하늘에서 보이는데 그게 약간 태양 빛 같은 건 아니고 약간 이렇게 뿌려져 있는 빛이라고 해야 할까요. 밤하늘의 별은 아니고 아침에 더 밝은 그런 빛들이 이렇게 나는 거예요. 또 왼손 엄지는 선생님이 바순 소리가 나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 왼손은 또 시적인 노래 같아요. 그것도 매번 바뀌긴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런 이미지가 저한테 있어요." (91-92p) 어쩐지 귀로 듣는 음악만이 아니라 특별한 이미지가 눈앞에 펼쳐지는 듯한 신세계 같다고 느꼈네요. 뮤지션 파트에서는 세계적인 음악가인 정경화, 정명훈, 진은숙, 조수미, 클라우스 메켈레, 그리고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10대 음악가들을 소개하고 있어요. 레전드 파트에서는 천재적인 음악가인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레너드 번스타인, 마리아 칼라스, 루치아노 파바로티의 삶과 음악을 만날 수 있어요. 다시는 만날 수 없는 음악가들이라서 안타깝지만 이제라도 그들의 연주와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고 있어요. 똑같은 악보를 연주하는데 어쩜 이토록 매혹적인 소리가 만들어지는 것인지, 참으로 경이롭네요. 숨죽인 채 감상하다 보면 음악의 선율을 따라 심장 박동이 뛰는 느낌이 드네요. 눈과 귀뿐만이 아니라 심장으로 느끼는 음악, 그 음악의 세계로 이끄는 멋진 책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