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행원 니시키 씨의 행방
이케이도 준 지음, 민경욱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직장 생활을 하면서 업무 스트레스, 상사의 질책 등으로 회사를 그만 두고 싶지만 가족들을 생각하면 참아야 하는 사람들. 일본의 직장인 모습이 우리와 흡사하다. 차라리 책임질 사람이 자신 뿐이라면 오기로 사직서를 내겠지만 가족을 책임지는 입장이라면 참는 것이 최선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직장인의 비애다.
은행이라는 곳을 고객 입장으로만 알다가 은행원의 이야기를 보니 새삼 그 어려움을 알게 됐다. 깔끔한 유니폼을 입고 쾌적한 환경에서 일하는 은행원들이 겉보기에는 무척 편해 보였는데, 역시 쉬운 일은 없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스트레스를 받는다. 연차가 높아질수록 승진에 대한 압박과 동료간의 경쟁은 치열해진다. 직위 고하를 막론하고 각자 나름의 어려움이 있다. 문제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이다. 부지점장 후루카와는 출세를 위해 실적만을 보고 사람을 평가한다. 자신의 실수도 부하직원의 탓으로 교묘하게 덮어 버린다. 씁쓸한 직장의 모습이다. 함께 일하는 동료도 경쟁의 대상으로 견제하는 조직 내에서는 진정한 인간 관계가 어렵다. 서로 많은 시간을 일하며 보내지만 정작 서로에 대해 아는 것은 별로 없다. 왜냐하면 서로 알고 싶지 않으니까. 현대인들의 병이다. 매일 많은 사람과 만나지만 마음을 나누는 사람이 없는 외로움의 병.
도쿄제일은행 나가하라 지점 은행원들의 모습을 통해 삶의 고단함을 보았다. 사건은 어느 여름날 현금 100만 엔이 사라지면서 시작된다. 지극히 평범하고 피곤한 은행원들에게 이 일은 흔한 일로 넘길 수도 있었다. 비록 여직원 아이리가 의심을 받았지만 표면적으로는 해결되었으니까. 그러나 여기에 제동을 건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니시키 씨다. 그는 자신의 부하직원인 아이리의 결백을 믿고 진범을 찾으려 했다. 과학수사대를 흉내낸 증거 수집과 지문 채취를 통해서 말이다. 평소에는 털털하고 승진을 초월한 니시키 씨는 왜 이 일에 열중했을까? 니시키 씨는 알았다. 누가 현금을 훔쳤는지를. 그리고 그가 실종됐다.
솔직히 나는 니시키 씨의 행방이 전혀 궁금하지 않았다. 당연히 범인에 의한 실종으로 보였으니까. 다만 놀라웠다. 함께 일하던 직원이 갑자기 실종되었는데 회사에서는 전혀 관심이 없다. 그의 존재가 그토록 무의미하다는 얘긴가. 그들의 관심은 ‘그의 빈 자리에 누굴 대체할 것인가’이다. 직장인들은 거대한 톱니바퀴 속 작은 부품에 불과한 건가. 작은 부품 하나쯤 없어져도 교체할 부품은 얼마든지 있다는 식이다. 그러니 직장을 위해 충성하며 자신의 젊은 시절을 보낸 사람은 서글프다. 그는 무엇을 위해 살았나. 자신이 병들고 아프면 회사는 위로는커녕 업무차질을 탓한다. 실적이 떨어지면 가차없이 밀어낸다. 오로지 승진, 성공을 위해 살았는데 남는 것이 없다. 믿을 것이 없다.
사람은 겉모습만으로는 알 수 없다. 그래서 이 책은 미스터리물이다. 알다가도 모를 사람들의 속마음을 니시키 씨처럼 추적하다보면 놀라게 된다. 진실이 무엇인지 알게 되니까.
이 소설은 확실한 결말보다는 여운을 남긴다. 미스터리를 좇던 니시키 씨가 실종되고 그의 후임자인 다케모토, 그리고 아이리, 다바타가 조금씩 베일을 벗겨준다. 처음에는 현금 100만 엔을 훔친 범인을 알고 싶었는데 다 읽고 나니 니시키 씨의 행방이 궁금해졌다.
도쿄제일은행이라는 곳은 우리 사회의 단면이다. 10가지의 사연을 가진 사람들을 보면 각자가 열심히 살지만 정작 무엇을 위해 사는지를 잊고 산다. 각자 자신답게 사는 것이 아니라 조직에 속한 누구답게 맞추어 살고 있다. 그들이 바라는 성공을 얻기 위해서.
사건의 진실은 우리에게 말해준다. 인간의 욕망- 나이들수록 벗어날 수 없는 삶의 굴레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