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 1 - 그랜드 얼라인먼트의 아이들
박정호 지음 / 피스토스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책을 펼치고 마지막 장까지 단숨에 읽었다. 그러나 이 책은 한 권이 아닌 4-5권 정도로 기획된 책이라고 하니 아쉽다. SF공상영화를 본 듯한 재미를 준다.

저자가 이 소설을 쓰게 된 계기가 영화 오멘을 보고 나서란다. 너무 허술한 공포영화라서 자신이 그런 소재의 작품을 영화화한다면 더 잘 만들 수 있을 것이란 공상에서 시작하여 10여년의 시간을 거쳐 완성된 소설이라고 한다. 나는 공포영화는 무서우면 된다는 신조로 굳이 내용을 따지지 않았다. 어릴 적 영화 오멘이나 엑소시스트를 보면서 제대로 된 공포를 느꼈었다. 그러니 같은 영화를 봐도 보는 사람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부족한 부분을 가려낸 사람은 멋진 소설을 완성했고 그냥 보던 사람은 다시 그 소설을 보고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따지자는 것은 아니고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성경 내용이 많이 인용되는데 처음에는 개신교 성경을 인용해서 그런가보다 생각했다. 그렇지만 신부님이 등장하는데 개신교 성경을 인용하니까 좀 어색한 느낌이 들었다.

그 점을 제외하면 너무나 흥미진진하고 재미있는 내용이었다. 그랜드 얼라인먼트의 아이들, 그랜드 얼라인먼트는 행성 직렬 현상이라고 한다. 그 순간에 태어난 사람은 2천년 전의 예수님과 현재 소설에 나오는 아이들이다. 과연 이 아이들이 크면서 어떤 일이 벌어질는지 기대가 된다.

과연 성경에서 말하는 요한 묵시록의 종말은 올 것인가.

세계 종말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이 그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인지, 그것을 막을 사람은 누구인지 솔직히 요한 묵시록을 읽어본 적이 없다. 성경 중에서 유일하게 미래에 대한 예언이라 조금 무섭기도 해서 읽을 생각을 못했다. 책 속에 에녹 신부님이 묵시록에 대해 했던 이야기들을 보면 정말 그런 것도 같다. 사실 그것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 보니 소설이 더 실감나게 느껴지는 것 같다.

영화 오멘에서도 그렇지만 사람들은 악마가 아이의 형상으로 나타나면 주저하게 된다. 순수하고 천사 같은 아기의 모습에서 악마를 찾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책 속의 지젤도 악마인 줄도 모르고 아기의 모습으로 살려 달라는 애원에 마음이 흔들린다. 이런 부분이 공포다.

차라리 흉악한 악마의 모습을 하고 있더라면 맞서 싸울텐데 말이다.

공포의 코드이기도 한, 악마는 사람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잘생기고 지적이고 세련된 사람의 모습을 지녔다면 그가 악마인지 알 방법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런 악마가 세계를 지배한다면, 상상만해도 끔찍하다. 그래서 악마 같은 존재로 히틀러를 떠올리게 되는 것 같다. 극단적인 민족주의가 만들어낸 대학살, 비극은 인간의 마음을 지녔다면 도저히 할 수 없는 만행이었다. 역사 속 악마 같은 사람들이 여기서 말하는 적그리스도라고 한다.

악마와 맞설 수 있는 사람은 누굴까. 예전에 재밌게 봤던 퇴마록의 퇴마사도 떠오르고 해리 포터도 떠오른다. 하지만 현실에서 악마와 맞설 사람은 소설처럼 특별히 선택된 한 사람은 아닐 것 같다. 악마가 단 하나의 존재가 아니니까.

현실 속의 악마는 인간의 이기심과 타락 우리 내면에 있는 악한 마음일 수도 있다. 그래서 가장 극한 공포를 주는 것은 귀신이나 유령이 아닌 악한 인간이다. 신이 인간에게 자유의지를 준 것은 이 세상을 인간 스스로 만들어가라는 뜻이리라.

세계의 종말이라는 묵직한 소재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나간 저자의 상상력에 박수를 보낸다.

 

인류는 옛날에도 지금과 같았어. 단지 주변이 복잡해졌을 뿐이야. 인류가 진정 발전시켜야 할 것은 문명이 아니라 인간애의 회복이야. 인간애의 회복은 몇 개의 구호단체로 해소되는 게 아니야. 인류가 목숨을 걸고 매달려야만 가능하지. 형제와 형제, 나라와 나라, 민족과 민족이 끝없이 편을 가르고 다투고 미워하는 것을 학습하고 반복하는 이상 인류에게 발전이란 없어. 인류는 차라리 가난할 때가 더 나아.

 

소설 속 케이브의 말에 고개가 끄떡여졌다. 전에 읽었던 책 <19년간의 평화 수업>이 생각났다. 우리가 배워야 할 평화는 바로 이 세상에 대한 사랑의 실천, 인류애일 것이다.
아직 끝나지 않은 소설<세인트>의 결말을 나름 상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