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개 1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논개. 그녀는 조선의 정사(正史)에는 기록이 없다. 그러나 그녀의 이름과 삶의 최후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만 여자이기 때문에 역사 속에 소외되고 왜곡된 것이다.

나 역시 논개를 적군의 장수를 껴안고 남강 속에 투신한 일개 기생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기생이 아니라 몰락한 신안 주씨가의 자손이며 진주성 전투를 지휘한 경상 우병사 최경회의 부실(첩)이었다고 한다.

소설 <논개>는 역사서가 아니다. 작가의 말처럼 사랑과 죽음을 주제로 새롭게 태어난 논개라는 여인의 이야기인 것이다. 그녀는 진정 사랑을 아는 사람이었다.

고산자 김정호의 말대로 애국이란 어떤 거창한 신념이라기 보다는 자신이 살고 있는 땅과 그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사랑하는 것이다. 그것은 다름 아닌 ‘운명애’다.

모질고 각박한 그녀의 삶을 지탱하는 힘은 사랑이었다. 부모 슬하에서 귀하게 자란 것은 겨우 여섯 해에 지나지 않지만 정성을 다한 사랑을 받았기에 사랑을 믿었다. 마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의 답을 보는 듯 하다.

논개와 어린 시절 무자리로 함께 일하던 업이라는 아이는 여러모로 대조적인 인물이다. 태어날 적부터 부모의 온기를 느껴보지 못한 채 진정한 사랑을 모르던 아이다. 그래서 논개와의 우정도 자신의 변변찮은 이익을 위해 무시할 수 있었다. 타고난 심성이 악해서가 아니라 살아 남기 위해 그런 것이다. 그런 업이 때문에 힘든 상황에도 논개는 원망하기는커녕 끝까지 이해해주고 받아줬다. 그런 논개의 심정과는 달리 그 마음을 순수하게 받지 못하는 업이가 가엾다. 사랑을 받지 못했기에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이다. 업이는 나중에 진주 기생 산홍이 되어 논개와 다시 만난다. 업이는 실존 인물이 아니지만 어찌보면 그 시대에 살았을 누군가의 모습이다. 그에 비하면 논개는 행복한 여인이었다. 살아온 여정은 업이와 크게 다를 것이 없지만 한 남자를 진정으로 사랑했고 그와 함께한 이 땅을, 그 운명을 사랑했다.

유교의 윤리라는 명분과 제도의 틀에 매이지 않고 다른 이들의 평가에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를 가진 여인의 마지막 선택은 놀라웠다.

책의 첫 장면에 논개의 죽음을 묘사한 부분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죽음이 두렵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을까. 천천히 죽음을 맞이하는 여인과 적장의 모습이 눈 앞에 펼쳐진 듯 느껴졌다. 이제 겨우 스무 해를 살아 온 여인이 그 생을 마감하고 있다. 아름다운 불꽃의 생이라.

 

어쩌면 큰 약속을 지키기보다 작은 약속을 지키기가 더 어렵지 않은가요?

큰 약속은 자기를 넘어서지만 작은 약속은 천지간에 먼지만큼이나 작은 자기 안에 오롯이 갇히기 마련이니까요.

약속합니다. 생애 단 한 번뿐인 사랑으로 살고, 마침내 그 사랑으로 죽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