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비실록 - 숨겨진 절반의 역사
신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가 학교에서 배워온 역사는 남성중심의 역사이다. 그래서 역사 속의 여성을 알기가 쉽지 않다. 조선시대의 역사 중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숨겨진 반쪽, 왕비의 삶은 어떠했을까? 궁금한 우리의 역사 속 이야기를 <조선왕비실록>을 통해 알 수 있다.
학교에서 배우는 역사는 지루하지만 텔레비전 속 역사는 재미있다. 그것은 사극이역사 속 인물의 삶을 드라마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바로 이 책 역시 조선시대 대표적인 왕비 7명의 삶을 일대기식으로 구성하여 읽는 동안 재미있었다.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조선 왕실의 가계도가 머릿속에 그려졌다. 그러다가 헷갈려서 적어볼까 했더니 마침 책 뒷면에 가계도가 부록으로 있어 정리하기가 쉬웠다. 일부러 역사 공부를 하려던 것은 아니었는데 읽다 보니 공부가 되었다.
저자는 왕비에 대한 사료를 실록에서부터 묘지명에 이르기까지 역사 기록을 샅샅이 추적해 복원해냈다. 마치 탐정이나 수사관처럼 왕비의 성장배경과 외모, 성격까지 유추해내고 있다. 어차피 명확한 기록이 없으니 짐작할 따름이지만 우리 역사를 이해하는 데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남자다. 그러나 그 남자를 움직이는 것은 여자라고 했던가.
그렇기에 최고 권력의 핵심에는 왕비가 있었다. 조선 건국의 태조 이성계에게는 신덕왕후 강씨가 있었다. 태조의 또 다른 부인, 신의왕후 한씨는 정종과 태종의 어머니다. 문제는 왕의 여자가 여럿이라는 점이다. 후손을 번창하고자 왕비 이외에 후궁을 여럿 두었으니 그 후손은 왕권을 놓고 경쟁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왕비는 아들을 낳아야 그 아들이 세자가 되고 왕이 되어 자신의 권력을 보존할 수 있으나 아들이 없거나 너무 어리면 자리를 보존하기 힘들고 목숨마저 위태로울 수 있다. 조선 건국이 쿠데타였으니 왕의 자리는 늘 위태로울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다. 최고의 권력과 부귀영화를 누리니 행복할 것 같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보니 전혀 부럽지가 않았다. 태종 이방원의 부인 원경왕후 민씨도 왕비가 되기 전 불안한 상황을 견디지 못해 세 아이를 유산했고 그 다음에 낳은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은 걱정이 되어 외가에 보냈다고 한다. 그 다음 충녕대군(세종)은 이방원이 정치적 고립 상태일 때 낳았으나 오히려 그 덕분에 아이를 키우며 오붓한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어찌보면 민씨는 왕비가 되기 전 그 시절이 가장 행복했을 것이다. 남편이 왕이 된 후의 삶은 남편의 냉혹한 무관심으로 불행했다고 한다. 이 내용을 보면서 두 가지 생각이 들었다. 한 여자로서의 행복은 권력, 부귀영화가 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과 사랑 받고 자란 아이가 크게 된다는 것이다. 충녕대군이 훌륭한 세종대왕이 될 수 있었던 것도 형들과 달리 부모의 사랑을 듬뿍 받았기 때문이리라. 반면 엄격하고 냉정한 훈육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는데 바로 월산대군이 그 예다. 인수대비 한씨는 청상과부가 되어 큰 아들인 월산대군을 매정하게 훈육하였는데,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은 월산대군은 병약하고 소심했다고 한다. 동생 자을산군은 할아버지 세조의 다정한 성품 덕분에 형보다 강하고 자신감 있게 자라 결국 성종이 되었다.
아이를 키우는 엄마라서 그런지 왕비의 삶 속에서 양육하는 부분에 관심이 간다.
그런데 가장 이해하기 힘든 왕과 왕비는 영조와 선희궁이다. 어떻게 아들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굶어 죽일 수 있었을까. 왕의 자리가 뭐라고 아들에게조차 위협을 느껴 죽이기까지 했는지 끔찍할 따름이다. 뒤주 속에서 살려달라고 울부짖는 아들의 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운 곳에 있으면서 괴로워하기는커녕 죽어가는 상황을 확인했다고 하니 가히 공포 수준이다. 이런 부모 자식간의 애정 결핍은 불필요한 허례허식인 궁중 예법때문이 아니었을까 싶다. 어리고 예쁜 자식을 무릎에도 앉히고 안아줄 수도 있는데 궁중 예법은 서로간의 거리를 유지했으니 말이다. 사도세자의 어머니인 선희궁 영빈 이씨는 어떠한 사람이었을까 궁금하다. 왜 아들을 사랑으로 감싸주지 못했는지 안타깝다. 사도세자는 기승 증세, 요즘 말로는 우울증이나 홧병인데 이로 인해 살인까지 저질렀다고 하니 심각한 상태였던 것 같다. 영조는 개미 한 마리도 안 죽일 만큼 여렸다고 하는데 아들을 뒤주에 가둬 죽인 것을 보면 영조 역시 정신질환이 있지 않았을까 싶다. 서로 사랑은 주지 않고 받으려고만 하니 사랑해야 될 관계가 증오의 관계가 된 것이다.
사랑도 배워야 할 감정이다. 자식을 올바르게 잘 키우려면 부모가 똑바로 서야 한다. 사랑을 보여줘야 한다. 조선왕비실록을 보면서 왕과 왕비가 정략결혼이 아닌 뜨거운 사랑으로 만나고 자식을 낳았더라면 더욱 사랑으로 키웠을 것이고, 조선시대가 태평성대가 되지 않았을까 상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