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읽는 새로운 언어, 빅데이터 - 미래를 혁신하는 빅데이터의 모든 것 서가명강 시리즈 6
조성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새 서가명강 시리즈를 탐독하게 된 것 같아요.

서울대 가지 않아도 누구나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즉 서가명강의 여섯 번째 책이 드디어 나왔네요.

<세상을 읽는 새로운 언어, 빅데이터>는 대한민국 최고의 빅데이터 전문가가 알려주는 빅데이터의 모든 것을 담고 있어요.

솔직히 '빅데이터의 모든 것'이라고 하기엔 책이 그리 두껍지 않아서 너무 내용이 적은 게 아닌가 싶었어요.

그러나 막상 책을 읽어보니 빅데이터가 무엇인지, 그 개념을 확실하게 알려준다는 점에서 매우 만족했어요.

우리가 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건 '빅데이터'를 제대로 이해하는 능력이에요.


먼저 빅데이터는 우리가 만드는 대량의 데이터를 뜻해요.

빅데이터의 특징은 해당 영어 단어들의 첫 글자를 따서 'VVV', 즉 3V라고도 해요.

■ 양 Volume : 데이터의 양이 많아요.

■ 속도 Velocity  :  실시간으로 발생하여 끊임없이 밀려들어오기 때문에 생성 속도가 빨라요.

■ 다양성 Variety  :  숫자와 같은 정형 데이터 이외에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같은 비정형 데이터들까지 다양해요.

정리하면, "빅데이터는 양, 속도, 다양성이다"라고 할 수 있어요.


책에서는 빅데이터를 요리 재료에 비유해요.

다양한 재료가 대량으로 존재할 때, 손님(의사결정자)이 요리사(데이터 사이언티스트)에게

무슨 요리(인사이트)를 먹고 싶은지 이야기하면,

요리사가 필요한 재료를 확보하고 요리를 만드는 거예요.

빅데이터를 요리하는 단계를 살펴보면,

첫 번째 단계인 묘사 분석으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두 번째 단계는 진단 분석으로 "왜 일어났는가?"

세 번째 단계는 예측 분석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네 번째 단계는 처방 분석으로 "우린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며, 최적화 처방으로 마무리돼요.


그렇다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은 어떤 관계일까요?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애널리틱스의 핵심 방법론이 인공지능이에요.

그러니까 빅데이터는 재료이고, 인공지능은 조리법이에요.

미래사회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구현하려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 빅데이터인 거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은 우리에게 엄청난 생산성 향상을 가져다 줄 거예요.

그렇다면 빅데이터 분석의 최종 목표는 뭘까요?  

그건 "가치 만들기"라고 해요.

확보한 데이터가 기대하는 가치 창출에 부합하는지가 중요한 거예요.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면 무엇보다도 빅데이터 가치를 이해하고 애널리틱스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일이 우선되어어야 해요.

사회 혁신을 위한 공동데이터 측면에서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해요. 현재 모든 빅데이터는 공공기관이나 기업이 소유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데이터가 없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문제는 내가 평생 다닌 병원에 남아 있는 내 데이터가 내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에요. 

이제 우리의 일상은 모두 데이터화되고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의 보호 대책 마련은 시급하다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요즘 내가 생산한 데이터는 내 것이라는 권리를 주장하는 마이 데이터 운동이 뜨고 있고, 보다 널리 퍼져야 해요.

빅데이터를 안다는 건 내가 만든 데이터에 대한 권리를 지킬 수 있는 힘이자 미래 인재가 가져야 할 기본 소양이에요.

따라서 지금 우리가 배워야 할 새로운 언어는 빅데이터라는 것.

이 책은 그 언어를 배우는 첫 수업이자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