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장할 우리 가족 - 정상 가족 판타지를 벗어나 '나'와 '너'의 가족을 위하여
홍주현 지음 / 문예출판사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상' 가족이라는 환상이 환장할 가족을 만든다?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면 이 책에 자세한 설명이 나옵니다.

<환장할 우리 가족>은 소설이 아닙니다. 지극히 사적인 가족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저자는 비교적 평범한 가정에서 별다른 일탈 없이 성장했고, 조건에 맞는 남자를 만나 두 달 만에 결혼했으나 2년차 무렵 남편의 암 선고로 위기를 겪게 됩니다.

국회에서 유능한 보좌진으로 일했던 저자는 남편의 투병 생활을 뒷바라지하기 위해 직장을 그만뒀고, 그토록 원했던 임신을 포기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한국 가족의 집단주의적 현상을 목격했습니다.


"우리는 왜 조금도 의심하지 않고, 너무나 당연하게 가족을 마지막 보루라고 여길까.

혹시 그런 믿음이 가족 때문에 힘들어하면서도 가족 탓이 아니라고 자신을 속이면서 가족의 민낯 보기를 외면하거나,

그저 꾹 참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나는 가족에 대한 한국인의 이런 통념과 태도가 전형적인 집단주의적 시각에서 기인한 것 아닐까 생각한다.

한국의 가족은 '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집단'에 가깝기 때문이다. '우리' 가족이라는!"   (6p)


이 책이 특별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저자 개인의 경험에서 그치지 않고 스스로 '가족'을 탐구대상으로 바라보았다는 점입니다.

몸이 아프면 건강의 소중함을 다시 깨닫듯이, 저자는 '비정상' 가족의 당사자가 됨으로써 한국 사회가 가진 고질적인 집단주의 행태를 발견했습니다.

남편의 투병 생활이 주위에 알려졌을 때, 주변인들은 이혼을 권유했다고 합니다. 그들의 권유는 이혼함으로써 위험 요인이 있는 가족 구성원을 제거하라는 것입니다. 당시 저자는 새로이 이룬 가족 공동체의 주체라는 생각이 크지 않았고, 책임을 회피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으나 이혼을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에서 문득 반대의 경우였다면 어땠을까라는 상상을 해봤습니다.

아픈 남편을 위해 희생하는 아내는 당연하게 받아들이지만, 아픈 아내를 위해 희생하는 남편은 대단히 훌륭한 존재로 여긴다는 건 굳이 희생하지 않아도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닐까요.

또한 살림에 대한 편견은 가족 안에서 엄마의 존재를 모순적으로 만듭니다. 성스러운 존재이자 하찮은 일을 하는 사람.

프로이트에 따르면, 인간은 죄의식이 드는 대상을 함부로 할 수 없는 어떤 고결하고 거룩한 것으로 만들어 자기 죄책가과 공포를 승화하려는 심리가 있다고 합니다. 엄마를 성스러운 존재로 만드는 마음도 살림 같은 하찮은 일을 엄마에게 미루면서 드는 죄책감에서 비롯된 게 아닐까라는 저자의 생각에 한 표!

근래 읽은 스웨덴의 복지 정책을 보면, 아동 돌봄에 대한 아버지의 권리와 책임을 강조하면서 '집안일'은 부부 공동의 일이라는 관점에서 제도를 만들어 젠더 평등 사회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결혼과 동시에 여자에게만 의무를 강조하는 우리나라와는 대조적입니다. 스웨덴 복지의 핵심은 모든 인격체에 대한 존중과 평등의 가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반면 한국 사회는 가족이라는 울타리가 '개인'을 인정하지 않는 '우리'로 상징된다는 점에서 재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자의 경험은 특별한 사례가 아니라 한국에서 매우 보편적인 가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저자는 '우리'라는 집단으로서의 가족이 아니라, 정신적으로 자립한 '개인'으로서 가족구성원을 존중하는 개방적인 공동체로서의 가족 모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족을 '우리'가 아니라 '너'와 '나'로 인식하고, '나' 스스로를 먼저 존중해야 합니다. 각자 온전한 '나'로 존재할 때 밝고 건강한 가족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