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스로 해내는 아이의 비밀 - 스탠퍼드대 박사 엄마의 뇌과학 컨설팅
김보경 지음 / 제이포럼 / 2024년 6월
평점 :

어느 집 아이는 공부도 잘하고, 운동도 잘하고, 사회성도 좋다 하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듣게 된다.
신기하게도 다 잘하는 아이는 있어도 공부만 잘하는 아이는 없다.
아마도 스스로 갖고 있는 정체성과 함께 주체적이고 책임 있는 삶의 태도에 따른 결과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마침 새로 알게 되어 읽게 된 이 책은 제목부터 엄마의 심장에 화살이 꽂히게 만들었다.
스스로 해내는 아이는 어떤 비밀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우리 아이는 어떻게 해야 스스로 해내는 아이가 될까?
스탠퍼드 대학교를 떠올리면 뇌과학, 신경과학 분야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
스스로 해내는 아이의 비밀은 스탠퍼드대에서 의사결정 신경과학을 전공한 박사이면서 동시에 엄마인 저자가 뇌과학을 컨설팅하여 일평생 가지고 가야 할 좋은 습관을 만드는 법을 알려주고 있다.
습관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습관이 만들어지는지,
우리 아이의 뇌를 위해 만들어야 할 습관은 무엇인지,
엄마의 마음으로 아이의 행복을 위해 고르고 다듬은 내용들은 저자의 말처럼 희망을 이야기하기 위해 쓰였다는 것을 진심으로 느낄 수 있다.
"좋은 습관은 우리가 삶을 평가하는 관점을 바꿉니다. 습관을 통해 우리 아이들이 좋은 선택을 고통으로 바라보지 않고, 행복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세요. 60p"
초콜릿 시럽이 잔뜩 뿌려진 달콤한 음료를 먹고 싶은 충동을 억누르는 것이 좋은 습관이 아니라, 굳이 먹고 싶지 않을 때도 습관적으로 찾아먹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것, 녹색 스무디를 먹는 사람은 불행한 것이 아니라 스무디를 통해 행복을 느낀다는 것에 진정으로 좋은 습관은 우리가 삶을 어떻게 바라보고 평가하는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머리가 뎅하고 울리는 충격을 받았다.
유년기, 뇌의 신경가소성이 활발한 시기에 더욱 좋은 습관을 들여야 한다는 설명에도 늦지 않은 이 시점에, 이 책을 만나게 되어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
아이의 뇌는 경험을 통해 배우고, 경험이 반복되면 습관이 된다.
저자는 신호와 행동, 보상의 관계를 통해 습관 형성의 메커니즘을 알려주고 이 습관의 고리를 이용하여 어떻게 행동을 가르치는지 자세히 이야기한다.
목표를 정의하고, 타깃 행동을 골라내어 타깃 행동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정한다. 행동이 실행되어야 할 명확한 신호를 설정하고 어려움 없이 행동이 일어나도록 충분히 반복한다.
저자가 설명하는 이 습관형성의 메커니즘은 어쩌면 다른 책을 통해 접하고 시도하여 자신의 삶을 바꾼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일독하기를 권하는 이유는 어른인 부모가 아이들에게 적용할 때 부모가 놓칠 수 있는 필연적인 함정들을 캐치하여 진정한 루틴으로서 자리 잡게 만드는 것을 돕기 때문이다.
책의 후반부에는 스스로 해내는 아이들의 습관도 알려주는데, 집중하는 뇌를 만드는 세 가지 습관, 공부하는 뇌를 만드는 네 가지 습관, 행복한 뇌를 만드는 세 가지 습관으로 총 10가지의 습관과 그것이 필요한 이유와 정착하기까지의 방법들도 자세히 나와있어 도움이 되었다.
이미 일상에 자리 잡도록 노력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대체로 많이 부족했구나 하는 반성과 함께 내가 지금 아이에게 가르쳐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이를 억압하지 않고 좋은 습관을 형성하게 만드는 삶의 태도와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아주 작은 습관의 힘만큼이나 두고두고 일상을 점검하며 곁에 두고 싶은 책이라는 생각에 몇 번이나 들춰보고 곱씹게 되는 책이었다.
아이의 일생에 좋은 씨앗을 뿌리고 싶은 부모님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