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의사의 사계절
문푸른 지음 / 모모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섬 의사의 사계절>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푸른 저자는 대학병원에서 인턴 생활을 한 1년과 더불어 공중보건의로 발령받아 보건의로 근무한 1년, 총 2년간의 기록을 이 책에 담았다. 대학병원에서 인턴 생활을 하면서 함께 근문한 간호사 J와 사귀고 다음 공중보건의 발령지를 여자친구가 있는 전남이 아닌 경기로 쓰면서 헤어지는 과정을 적었다. 인턴을 막 끝낸 초보 의사가 편의점도 없는 외딴 섬에서 보낸 에세이이다.

저자의 글은 전체적으로 사람 냄새가 물씬 풍긴다. 자신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쓰는 것이 사실 쉽지 않은 일인데, 저자는 매우 솔직하게 글을 쓴다. 특히 자신이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는 인턴 생활과 공중보건의 생활은 의사 조직의 특성상 이야기하는 것이 매우 힘들었을텐데 큰 용기가 있지 않았나 싶다. 그와 더불어 연인과 결국 헤어졌으므로 연인과의 이야기를 하는 것도 쉽지 않았을 것 같은데 감정에 솔직한 것이 마음에 들었다. 정말 저자가 그녀를 사랑했다는 감정이 느껴졌다.


우리나라는 4,198개의 섬이 있을 정도로 생각보다 많은 섬이 있다. 물론 대부분 무인도이긴 하지만 대략 1,000개 정도의 섬엔 사람이 살고 있다. 그리고 사람이 사는 곳엔 공중보건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대부분 도서 지역의 공중보건의는 문푸른 저자처럼 대체복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문푸른 저자가 책에서도 이야기하지만 절대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제도가 필요할지 고민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산, 어른의 하루 - 날마다 새기는 다산의 인생 문장 365 다산의 마지막 시리즈
조윤제 지음, 윤연화 그림 / 청림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말씀을 하루하루 읽어 다산과 같이 생각해보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피 로드 - 커피는 어떻게 세상에서 가장 사랑받는 음료가 되었을까
라니 킹스턴 지음, 황호림 옮김 / 영진.com(영진닷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가지 커피에 관한 다양한 내용과 더불어 각 커피가 어떤 역사를 갖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아 기대되는 책인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럼에도 인생은 흐른다 - 이천 년을 내려온 나를 돌보는 철학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김한슬기 옮김 / 페이지2(page2)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아 학파는 헬레니즘 시대에 발생하여 전기 로마 시대까지 성행한 철학 학파로서 후에 스피노자를 비롯한 합리주의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합리주의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시피 스토아 학파는 대표적으로 보편적인 이성과 금욕적인 삶을 추구했다. 세네카는 스토아 학파 철학자로서 그 남긴 열두 편의 에세이는 라틴어로서 상당히 수준 높다고 인정 받으며 교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책 <그럼에도 인생은 흐른다>는 세네카가 남긴 열두 편의 에세이 중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De Brevitate Vitae)>, <행복한 삶에 관하여(De Vita Beata)>, <마음의 평온에 관하여(De Tranquillitate Animi)> 등 세 편의 에세이를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세네카는 스토아 학파이므로 기본적으로 보편적인 이성과 금욕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한다.

여러가지 좋은 문장이 있었지만 아마 이 두 부분이 세네카의 철학을 가장 잘 보여주는 문장이 아닐까 싶다. 첫 번째 문장은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선 먼저 행복이라는 목적을 정확히 세워야 되는데, 세네카는 그 방법으로 보편적인 이성의 사용을 이야기한다. 즉 보편적인 이성의 사용으로 명확히 행복에 대하여 알아야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문장은 금욕적인 철학을 의미한다. 물론 세네카는 전체적으로 부를 경멸하지 않는다. 그도 부가 없는 것보단 있는 것이 낫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 자체가 행복의 목표가 되는 것은 반대하며, 단지 부도 자신의 행복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라면 긍정하는 듯이 보인다.

개인적으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부족한 부분이 해외 고전에 대한 번역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번역가의 역력을 봤을 때 라틴어를 직접 번역한 것 같지는 않고, 아마 영어로 된 세네카의 에세이를 번역한 것 같다. 물론 직접 라틴어를 번역한 것이 아닌 것 같아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해외 고전 번역이 잘 된 책인 것 같아 읽는 내내 기분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렌즈 캐나다 : 밴쿠버·토론토·몬트리올·퀘벡·로키 - 최고의 캐나다 여행을 위한 한국인 맞춤형 가이드북, 최신판 ’23~’24 프렌즈 Friends 35
이주은.한세라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생 때 6개월 동안 캐나다로 어학연수를 간 적이 있다. 사진에서 잘 보이지 않는 매니토바(Manitoba)주의 위니펙(Winnipeg)이라는 곳이었다. 흔히 어학연수라고 하면 공부하면서 놀러도 다니고 할 것 같지만 난 아니었다. 물론 주말에 놀러다닐 수는 있었다. 매주 해야 할 공부량이 정해져 있었고, 그 정해진 공부를 다 하면 놀러다닐 수 있었다. 그러나 한 번도 다 한 적이 없었고 6개월 동안 놀러다닌 적이 정확히 두 번 있었다. 겨울방학을 맞아 스키를 1박2일 동안 타러갔던 것과 귀국하기 전 쇼핑을 한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캐나다에서 정말 많은 것을 배웠다. SCA라는 학교를 다니면서 정말 많은 문화를 배울 수 있었다. 그래서 평소엔 많은 생각을 하지는 않지만 올림픽 때만 되면 두 번째 나라로 캐나다를 응원한다. 그리고 캐나다 국가가 나오면 따라 부른다. 'O Canada~'로 시작하는데 매일 학교에서 부르다 보니 입에 익었다.

 책 <프렌즈 캐나다 2023-24 개정판>은 캐나다 여행을 위한 가이드북이다. 이미 프렌즈 시리즈는 매우 유명하다. 개인적으로 해외 여행을 계획할 때 가장 일차적인 자료로 쓴다. 그 나라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명소에 대한 정리가 잘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책도 마찬가지였다. 명소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문화나 시계, 음식 등 기본적인 정보를 알려준다. 그리고 각 지역별로 명소를 잘 보여준다.

 개인적으로 캐나다에서 벤쿠버와 퀘백을 가고 싶다. 벤쿠버의 경우 어학연수를 갔을 때 귀국길에 스탑오버를 하면서 잠시 공항에서 대기했던 기억만 있지 제대로 보지 못했다. 한인타운도 발달해 있고 책을 읽으면서 크래프트 비어의 천국이라고 하여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퀘벡은 프랑스어를 더 많이 쓰며 퀘벡주 독립 움직임도 보일 정도로 캐나다 내에서 이국적인 느낌이 강해 어떤 느낌인지 가보고 싶었다.

 마지막으로 여행하면서 우연히 만나게 되는 축제는 행운이다. 그만큼 좋다. 근데 미리 축제를 알고 간다면 행운이 아니라 필운이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토론토 프라이드 퍼레이드와 오타와 블루스 축제를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잘 찾아보면 지역적으로 많은 축제가 있을 수 있으니 검색만 잘하다면 좋은 여행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