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 아워스 - The Hour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남자들은 죽었다 깨어나도 이해할 수 없을 영화.

버지니아 울프.

한없이 회색에 가까운 우울함.

나는 그녀를 이해할 수 없었고 이해하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114분의 러닝타임동안 

버지니아 울프의 단 하루를 통해서

그녀를 너무나 이해할 수 있었고 이해하고 싶어졌다.

황급히 숲을 걸어 강가에 다다른 니콜 키드먼이

코트 자락에 돌을 넣고 강으로 들어간다.

배경으로 그녀의 유서이자 남편에게 남기는 편지가 들렸다.

"나는 다시 미쳐가는데 당신에게 고통을 주고 싶지 않고..."

그저 사진과 책으로 버지니아 울프를 보았을 때는

왜 저 여자가 저렇게 자기 혼자 힘들게 살다 자살해야만 했을까

황당했는데, 알 수 있었다.

하루에도 수십번씩 자살 충동을 느꼈을 그녀를...

세상과 맞서 홀로 온전히 고독할 수 밖에 없던 그녀를...

남편도, 형제도, 조카도, 의사도

그녀의 고통 앞에서 무기력할 수 밖에 없었다.

런던 생활 속에 두번이나 자살을 시도해

요양차 내려온 한적한 시골,

버지니아의 남편은 집 안에서 인쇄소를 차려 아내의 병간호를 한다.

하지만 버지니아 울프의 병은 간호로 나을 수 있는 것이 아닌 걸.

그녀는 근본적인 고통에 간신히 맞서 싸우는 중인 걸.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며,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다 할 때마다

남편도, 언니도, 심지어 하녀도 빈정거리는 그곳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일 것이다.


문득 아무 말도 없이 나가 기차역에 앉아있는 버지니아를 찾아

허겁지겁 달려와, 더이상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소리치는 

남편에게 

"나는 이곳에서 매일 죽어가고 있는데,

내겐 격렬한 도시의 삶이 필요해...런던으로 가고 싶어"

라고 말하며 울음을 담고 있던 그녀...

왜 이렇게 공감이 가는지...나는 서울에 가고 싶다.


시대가 만들어 낸 그런 고통이기에,

그녀는 더욱 힘들지 않았을까.

생을 마감하는 것으로 고통을 끝낸 버지니아 울프.

그녀가 세상을 떠난지 50년 뒤, 100년 뒤 여전히 여자의 고통에

몸부림치며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사람들.

1882년 - 1941년

19세기 그리고 20세기 지금 21세기.

변치 않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똑똑한 여성이 겪을 수 밖에 없는 고통일까.

취업과 같은 생존이 아니라,

지독하게 힘든 자신과의 싸움이란...

언제나 자살로 끝나야 하는 것을까.

버지니아 울프 역의 니콜 키드먼은 

코에 실리콘을 넣어 못생기게 만들고

머리를 회색으로 염색해 버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재여성을 연기하기에 너무도 아름다웠다.

하긴, 까미유 끌로델의 이자벨 아자니도 있는 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