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호장룡 - 아웃케이스 없음
이안 감독, 양자경 외 출연 / 소니픽쳐스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오늘 주말의 명화로 <와호장룡>이 방영된단다.

여름에 대나무 숲을 본다면 정말 시원할 것 같다.

와호장룡은 내가 극장에 가서 혼자 본 영화 중 하나이다.

한번 보고 기대 이상이라 너무 놀라서

자막에 연연 안하고 느긋하게 한번 더 보고 싶어서

살짝 눈치 보고 그대로 눌러 앉아 한번 더 봤다.

평일이기 때문에 가능했는지, 당시 흥행중이 아니어서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내게는 아주 특별한 영화였다.

국외에서 화제가 되었다던 관련소식을 모조리 제치고

나의 눈을 사로잡은 것은 <왕도로 원작의...>이라고 쓰여진

팜플렛 문구였다. 설마 싶었지만 그제서야 팜플렛을 찬찬히

읽어보았다. 그리고 내가 읽은 무협지가 원작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봐 주어야만 했던 것이다.

무협지에는 옥교룡, 나소호, 유수련, 이무백, 유태보, 철패륵 등으로

등장인물 이름을 그대로 써서 몰랐는데 시놉을 읽어보니

'리무바이'가 '이무백'인 것이었다.

대단히 섬세한 고증의상이나 세트들...

그럼에도 무협다운 판타지가 고스란히 살아있는 액션씬.

물이 흐르듯 자연스러운 배우들의 연기

사막과 무당산의 풍경

스토리라인을 따라가며 그대로 담긴 웅대한 스케일

반하고 반했다.

특히 사막씬에서는 완전 뿅~가고 말았다.

특히 나는 줄거리를 미리 알고 있었기 때문에

캐릭터에 몰입하기 쉬웠는데, 

단언하건데 100년, 200년이 지나서

리메이크 된다고 하여도 지금같은 완벽한 캐스팅은 없을 것이다.

유수련 역의 양자경과 이무백 역의 주윤발에서는 감탄...

사실 장쯔이의 옥교룡에서 많이 실망을 했었다.

김은수가 <토지>에 열광하다가 '서희'역에 기대를 하는 것처럼

왕도려 원작의 <청강만리>에서는 

이 '옥교룡'의 미모가 대단하다고 나온다. 

음악을 연주하다 멈추고, 

사람들이 얼굴 한번 구경하러 따라 다니고,

옥교룡이 첫 등장하는 장면에서 무려 2페이지 걸쳐서

모습을 묘사할 정도로 작가가 애정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였던 것.

나소호가 옥대인의 집에 숨어들어가 옥교룡을 처음 만나서

부탁한 것도 제발 불을 켜서 얼굴을 보게 해 달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옥교룡의 특징으로는 키가 크다고 묘사되는데

그런데 쨘~ 하고 등장한 것이 자그마할 뿐더러 

별 감흥을 느끼기 어려운 장쯔이.

하지만 장쯔이의 매력을 후반부에서 빛났다.

설마 그 액션을 전부 소화하리라고는 상상도 못했는데...

눈을 똑바로 뜨고 장첸을 바라보며

"날 보내지 마"

라고 말한 옥교룡은 정말 무협사상 가장 개성강한 캐릭터다.

또 조용히 양자경의 손을 잡고 자신의 뺨에 갖다 댄 주윤발은...

엉엉엉...미중년을 사랑할 수 밖에 없게 만든다...


이 멋진 영화를 혼자 본 이유는 나의 취향 때문인데

난 중국 영화와 무협지를 즐겨보는데 편견없이 중국 영화를 

같이 보러 가줄 사람이 주위에 없었다.

내 주위에는 중국영화라면 유치하다 혹은  그럼 그렇지 라는

표정을 미리 지어버리는 사람들 뿐이라 같이 보러 가기 싫었다.

나는 그래서 중국 영화라면 혼자서 보러 극장에 잘 간다.


오늘 와호장룡을 하면 또 봐야지...

주말의 명화를 하는 시간에 비가 좀 내렸으면 좋겠다.

마지막 장면 즈음해서 리무바이가 죽을 때 비가 내리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