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생각사전 - 인성과 생각머리를 키워 주는
양태석 지음, 추덕영 그림 / 세종주니어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요즘 큰아이가 학교에서 진행하는 아침 고전 독서 읽기 모임에 참여하고 있답니다.

아이가 평소에 접하지 않는 고전을 좀 더 흥미있어하고

아침시간에 책 읽는 시간을 확보하는 의미에서 스스로 참여했는데,

한 권의 책을 한 달 동안 반복해서 읽다보니

그동안 책을 소모적으로 읽었구나​라는 반성과

좀 더 차분히 책을 음미하고 되새김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는 중이랍니다.

그래서 요즘은 좀 더 다른 시각의 독서를 많이 권해보려고 하는데요.

그 중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인문학 관련 도서랍니다.

인문학은 인간에 대해, 또 인간과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

인간의 사상 문화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이지요.

그 깊이를 떠나 스스로 생각하고 답을 찾는 과정을

발견할 수 있는 학문이 인문학인 것 같아요.​

​요즘은 워낙 아이들의 눈 높이에 맞는 인문학 책들이 다양하게 나와서

고르기 힘들 정도인데요.

제가 이번에 고른 [ 인문학 생각사전] 은  책 속의 목차를

한번 훑어보고 나니  내용이 궁금해서 고른 책이랍니다.

​누구나 한번쯤은 성장기에 이런 정답이 없는 문제들로 고민하게 되지요.

요즘 아이들은 공부때문에 이런 문제를 고민할 시간이나 있는지 모르겠지만요^^​

하지만 이런 문제들에 대한 고민의 시간이 깊을수록

실제 나에게 이런 의문이 찾아왔을때 즉흥적이지 않고

신중하게 결론 내리고 한뼘 더 성숙해지는 것 같습니다.

​요즘은 직업을 고르는 기준,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조차 부를 중심으로 평가되는 것 같아요.

한때 우리 아들도 입버릇처럼 어른이 되면 부자가 되고 싶다고 했었는데요.

부와 행복이 비례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부는 생활의 편리함을 도와주는 도구이지요.

물론 그 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순간도 있고,

기대이상으로 많은 풍족한 기회를 제공하지만​

그 도구만으로 항상 행복할 수는 없답니다.​

바로 사람의 욕심때문이죠.

부자가 되려고 노력하는 건 나쁜 일이 아니지만,

부자가 되더라도 마음이 따뜻한 부자,

남의 아픔에 함께 아파할 줄 아는 부자가 되어야​

행복이란 궁전이 완성된다는 글을 읽으면 우리 아이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요?

 

​명사들의 명언을 통해서 고민에 대한 해답을 찾기도 하고,

그들의 경험에서 얻어낸 삶의 지혜를 엿볼수 있네요.

주제와 관련된 간결하지만 임팩트있는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아이들은 자신의 가치관을 새롭게 정리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 함께 생각해보기> 는  온 가족이 둘러앉아 함께 밥상머리 주제로 정하거나

가족회의 시간에 얘기해보기를 실천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인간다움'이 무엇인지 알기 쉽게 풀어놓은

초등학생을 위한 [ 인문학 생각사전 ]

이 책을 통해 온 가족이 함께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져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