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은 어떻게 세상을 볼까요? - 저마다 다른 눈, 다르게 보이는 풍경 길벗어린이 지식 그림책 1
기욤 뒤프라 지음, 정미애 옮김 / 길벗어린이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우와~이 책 정말 신기하다!

동물들 눈을 볼 수 있어 " 라는 말과 동시에

주변이 조용해지기 시작했어요.

책장을 넘겨가며 동물들의 눈에 비친 세상을 구경하느라 정신이 없더라구요.

이 책이 무슨 책인고 하니...

< 동물은 어떻게 세상을 볼까요? > 라는 플랩북이였어요.

 

 

동물들의 눈만 클로즈업 해서 고글모양으로 본 떠서 놓으니 어째 무섭기도 하고 징그럽기도 한데요.

 

 

페이지를 펼쳐보니 20여종의 동물들 눈만 쫙~나와 있더라구요.

우리딸은 일부 파충류과 곤충을 제외하곤 너무 귀엽다는 반응^^

 

우리와 비슷한 두개의 눈을 가진 동물들은 명암의 차이만 있을뿐

우리와 비슷한 배경을 볼 것 같지만,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조차도 청각과 후각이 발달한 반면,

시각은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고, 사람에 비해 구별할 수 있는 색도 적은 편이라고 해요.

 

그럼 왜 다르게 보일까요?

그건 저마다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이래요.

 

 

그래서 이 책에선 시야, 색과 빛, 동작인식, 시력의 기준으로

각각의 동물들이 보는 세상을 관찰하고 비교해볼 수 있답니다.

 

사람은 세상을 보기 위해 빛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는 눈도 중요하지만,

눈의 망막을 통해 들어온 시각정보를 해석하는 뇌가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요.

동물들에게 시각은 여러 감각들 중 하나일 뿐이랍니다.

즉 앞이 보이지 않아도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 동물들도 있고,

그런 동물들은 대부분 시각 이외늬 다른 감각들이 사람보다 훨씬 발달했기 때문이죠.

 

그럼 동물들은 같은 풍경을 어떻게 보는지 한번 살펴볼까요?

똑같은 풍경을 20종류의 동물들이 각각 어떻게 보는지 알아보는건

아이들에게 정말 색다른 경험일텐데요.

동물들의 눈을 자세히 살펴본 다음 플랩을 열면 풍경이 각 동물들에게 어떻게 보이는지 펼쳐집니다.

 

 

 

동물들의 눈을 들춰보면 같은 풍경인데 때론 흑백으로 때론 흐릿하게,

등 뒤쪽 까지 보이는 사람보더 더 좋은 시력을 가진 동물들도 있고

열을 감지하거나 모자이크처럼 보이기도 하지요.

 

 


동물들의 눈에 비친 세상은 진짜 이상하고 신기해서

어떻게 앞을 볼까도 싶지만 앞으로 동물을 볼때면 나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상상하게 될 것 같은데요^^

 

 

마지막 페이지엔 똑같은 풍경을 동물들의 눈에 보이는 세상을 모두 모아 놓아

한눈에 비교해서 볼 수 있으니 조류들의 시력이 가장 좋은것 같네요.

 

카멜레온은 두 눈을 원하는대로 따로따로 움직일 수 있다는 것도,

지렁이는 외형적인 눈은 없지만 광수용체 덕분에 빛을 감지하고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것도

이번에 알게 된 새로운 사실이네요.

 

과학과 상상의 세계 사이로 멋진 모험을 떠나 보는일~

이 책과 함께라면 가능하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