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교과서가 쉬워지는 사회책 도서관 - 25권의 책으로 배우는 사회책 제대로 읽는 방법 아주 특별한 도서관
장서영.김명미 지음, 순미 그림 / 글담어린이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초등학교 고학년에 올라가는 주변의 엄마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저학년때 미리 준비해 두지 않은 사회 때문에 아이가 힘들어한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그 문제에 대한 정답 또한 미리 알려주었어요

미리 미리 책을 많이 읽혀두는게 좋다고..

저학년때 책 읽을 시간이 많을 때 여러 책을 두루 읽어두면

사회과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말이죠.

책을 많이 읽는 것이 도움을 주는 것이 비단 사회과목뿐이겠습니까?

결국 알고보면 초등학교 시기는 책을 가장 많이 봐야할,

책을 가장 많이 읽어야 할 시기로 이 시기를 잘 보낸 아이들이

상급학교에 가서도 잘 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 주는 것 같습니다.

사실 저도 사회는 암기과목이라는 생각이 강해서

학교에서 사회를 배우게되면 시험에 나올만한 것을은 미리 좀 체크해줘야겠다..는

생각이 있었는데요.

미리미리 교과와 관련된 책들을 배경지식으로 심어두면,

암기과목이 아닌 이해과목으로 아이가 스스로 잘 해 낼 수 있을것 같더라구요.

그럼 어떤 책들을 읽어야할까요?

너무 내용이 전문적이거나 또 글이 너무 많거나 하면 책을 읽기도 전에

질려버릴것 같은데 말이죠..

여기에 이 모든 걱정을 한방에 날려 줄 속시원한 해결책이 있어 알려드립니다.

 

 

 

[사회 교과서가 쉬워지는 사회책 도서관]에는

교과와 연관된 아이들이 가장 사회를 이해하기 쉽게 배경지식을 익힐 수 있는

25권의 책을 엄선해서 각 책을 제대로 읽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거든요..

본격적으로 책을 읽기에 앞서 이런 물음들이 있습니다.

"너희들은 왜 사회공부를 어려워하니?

"사회책은 왜 읽어야 할까?"

 

 

무엇이든 배우기에 앞서 왜 배워야하는지 스스로 그 목적을 알고 배우는 것과

수동적으로 배우는 것에는 결과에서 확연한 차이가 나타나지요?

아이들이 왜 사회같이 외울것이 많은 과목을 왜 배워야하는지,

그 근본에 관한 이야기를 책을 읽기전에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엄마의 100마디 잔소리보다 한장의 책 내용이 아이에게 사회공부를

해야하는 당위성을 마련해주더군요.

 

 

사회는 우리가 알다시피 여러가지 분야를 총 망라하고 있습니다.

지리, 정치와 경제, 역사, 문화, 인권과 환경등..

저도 학창시절에 정치와 경제부부을 가장 어려워하고 달달 외웠던 기억이 나네요.

이렇게 포괄된 분야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니 하나의 주제를 익히기 위해

문어발처럼 뻗어나가는 다른 분야와의 상호 협력적인 지식연동이 필요하겠죠?

 

 

각 주제별로 연관된 5권의 책들이 어떤 학년의 어떤 교과와 연동되는지..

책을 읽으면서 어떤 점을 생각하면서 읽어야하는지,

책을 읽고 나서 어떠한 독후활동을 하면 도움이 되는지까지를 완벽히 알려준답니다.

 

저는 공부하면서 참 까다로운 과목이라고 생각했던 사회가..

이렇게 쉽게도 교과가 아닌 책을 통해서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놀랐네요.

아이와 매주 한권씩 계획된 독서를 통해 사회를 재미있게 익히고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