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랭 드 보통의 영혼의 미술관
알랭 드 보통.존 암스트롱 지음, 김한영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9월
평점 :
‘알랭 드 보통’의 이름을 빌려서 나온 책은 일단 의심을 해봐야 한다. 이름만 빌려서 나왔는데 내용까지 부실하면, 난 진짜 그를 원망할 수밖에 없을 텐데, 다행이 그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책이었고, 좋은 의미에서 저술을 한 흔적이 있어 다행이었다. 특히 예술에 중심으로부터 변방에 떨어져 잇는 나를 포함한 독자들에게 친절하게 예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주는 느낌이 들어서 좋았다.
서문에서와 같이 저자들은 예술의 가치를 의심하지는 않지만 예술가들의 의도와는 달리 멀리 떨어져 있고 고고한 별처럼 멀리서만 화려하게 빛나는 예술을 우리의 생활과 우리의 인생에 가깝게 끌어들일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이 예술이라는 것을 감상하기 하기 찾는 미술관과 박물관에서 남들이 말하는 감동과 희열을 느끼기 위해 갔지만, 정작 얻는 것 없이 돌아서며, 역시 난 예술과는 거리가 먼가 봐 하며 자조적인 태도를 취하는 현대인들을 위로하며, 사실 우리 의 문제보다는 예술이 존재하는 곳이 우리의 생활 위가 아닌 주류 예술계에서 예술을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일반 층에 대한 교육과 소개의 방법이 잘못되어 있다는 것에서 기인한 것이니, 너무 개인적인 문제라고 보지 않도록 위로해 주기 위한 것이 목적이라고 한다.
특히 예술이 도구로써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이 기능이 우리의 생활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설명함으로써, 예술이 전혀 우리와는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닌 낮게 내려오게끔 새로운 예술관을 갖게끔 도와주고자 하는 의도가 보였다. 특히 인간의 심리 치유에 관련된 예술 이야기를 펼치는데, 비교적 어렵지 않도록 설명을 하고자 하는 배려가 돋보였다. 다만, 일부분에서는 주제와 맞추기 위해 다소 약간 억지스러운 작품 설명과 감정을 엮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때로는 절묘한 사진작품으로 ‘과연 그렇다’라는 동의가 절로 나오도록 하는 부분도 있었다.
그러고 보니, 너무 예술을 너무 멀리 떨어진 것이라고 살아왔다. 내 주의의 것도 내가 우연히 마주치는 흔히 생각하는 자연미가 아닌 인공의 것이라도 우리의 감성을 채우는 예술작품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우리 생활에서 나아가 자본주의사회 안에서 피할 수 없는 상업적인 가치로서의 예술의 역할을 이해해 보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다. 더 나은 예술과 더 나은 수익을 위해 예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닌 그 수익이 목적이 아닌 수단이 되어 더 많은 예술적 성취에 투자를 한다면 이는 우리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할지도 모른다는 의견도 알게 되었다. 이는 경제뿐만이 아닌 예술의 정치적 가치 또한 중요하게 설명되었다. 문학 작품의 ‘서사시’가 정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우리의 바람직한 정치적 이상을 품은 예술도 좋은 작품이 될 수 있고 우리의 좋은 감상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예술과 정치의 관계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을 하고 있다.
아무래도 한 번의 독서로는 이 책의 묘미를 잘 살리기 힘들 것 같아 재독을 하였음에도, 제대로 서평을 쓰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솔직히 뭘 말해야 할지도 고민이었다. 하지만 이렇게라도 지금 이 책을 설명하는 이유는 나아가서 다른 방향으로써의 예술을 고민한 책이 있으면 다른 생각을 가질 수 있게 되고 이는 지금의 나의 생각과 비교를 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대충 끼적여 본다. 앞으로는 조금 더 예술이 나에게로, 나도 예술로 다가 설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서 내 인생을 치유하고 예술로부터 위로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